오피니언 사설

[사설] 재고증가에다 수익성 악화 겹친 주력산업

경기에 대한 적신호가 곳곳에서 켜지고 있다. 소비심리ㆍ경기실사지수 등의 지표가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기업의 재고ㆍ실적 등 실물쪽도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실물경기 악화는 체감경기를 더욱 악화시켜 경기회복을 더디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최근 자동차ㆍ전자ㆍ섬유 제품의 재고가 크게 늘고 있다. 자동차쪽 사정은 특히 심각해 현대ㆍ기아차 등은 이미 적정수준을 한참 넘어서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 재고증가는 두말할 것도 없이 판매부진에 따른 것이다. 그러니 기업들의 실적이 좋을 리 없다. 한 증권사가 주요 상장사 136개사의 2ㆍ4분기 영업이익을 분석한 결과 전년동기 대비 7.1%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추정돼 연초와 지난 3월의 추정치 35.6%, 21.2% 보다 크게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 기업들이 1ㆍ4분기에 비해서는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실적악화가 예상보다 훨씬 가파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주 원인은 고유가와 환율하락 등에 따른 채산성 악화다. 문제는 기업의 재고증가와 실적악화가 경기의 악순환을 심화시킨다는 점이다. 재고가 늘고 수익이 줄면 기업들은 투자를 꺼리고 구조조정에 나서는 등 긴축경영에 돌입하게 된다. 투자가 늘지않으면 고용사정이 좋아질 수 없고 소득이 줄어들어 결국 소비부진을 불러온다. 자동차의 경우 2만여개의 부품이 들어가는 데서 알 수 있듯 전후방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질 것이다. 완성차 업체의 재고증가와 투자부진은 부품 업체들의 경영난과 근로자들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아도 투자가 부진한 판인데 그 마저 위축돼 경기회복 가능성이 더욱 희박해지고 있다.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기업과 소비자들의 심리가 위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부의 리더십이 중요하다. 상황과 동떨어진 낙관론은 오히려 정부의 대응능력에 대한 불신감을 불러 불안감을 키운다. 정확한 현실인식 바탕 위에서 규제완화 등 여건악화를 타개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 실천해야 한다. 부동산에 대한 강경한 입장과 인위적 부양책은 없다고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경기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