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식당서 주는 파채 식중독균 조심

서울시내 5곳중 1곳서 검출… 백화점등 포장제품서도

서울시내 음식점 5곳 중 1곳에서 주는 파채에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내 백화점이나 대형할인점에서 파는 포장 야채 제품 중 8.3%에서도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최근 서울시내 50개 음식점들이 손님들에게 내주는 파채를 수거해 병원성 세균이 있는 지 시험한 결과 20%인 10개 업소의 파채에서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고 27일 밝혔다. 특히 6%인 3개 업소에서는 대장균까지 검출돼 위생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소보원 관계자는 "식당에서 파를 미리 잘라 상온에서 보관하는 과정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증식하고, 이로 인해 독소가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며 "파채를 냉장고에 보관하다 조금씩 나눠서 손님들에게 주면 위생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보원은 또한 서울시내와 근교 대형할인점 및 백화점에서 파는 13개 업체의 포장 야채 제품 24개에 대한 조사 결과 8.3%인 2개 제품에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들어있는 것을 확인했다. 16.7%인 4개 제품에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의해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돼 있는 제조일과 유통기한, 내용량, 함량, 포장재질 등이 표시돼 있지 않았다. 소보원은 해당업체에는 문제제품의 위생개선과 표시사항 준수를 촉구했고, 소비자에게는 진열대 온도가 5℃ 이하이거나 냉기 배출구 가까이에 있는 식품을 선택할 것을 당부했다. 소보원은 채소를 5℃에서 7일간 보관할 경우 세균증가율이 1.6배로 미미했지만 15℃에서 7일간 보관할 경우 410배로 급증했다며, 채소의 운송, 보관, 판매 등 모든 단계에서 5℃ 이하를 유지하게 하는 시스템 도입을 당국에 건의키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