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저축은행 로비 파문] 정치권, 긴장감속 공방 가열

관련 의원 실명 거론되자 "올 것이 왔다"

저축은행 부실 사태에 대한 검찰 수사과정에서 전ㆍ현직 국회의원의 이름이 흘러나오면서정치권의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신삼길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이 공성진 한나라당 의원 등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검찰 진술에 대해 "정치권은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다. 한나라당은 당내 별도로 진상조사특위 또는 태스크포스(TF)를 만들기보다 앞으로 꾸려질 국회 국정조사특위 위원들을 중심으로 사태를 살펴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핵심당직자는 "당내 별도의 특위 또는 TF가 꾸려질 경우 국정조사특위와 역할이 중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나라당은 오는 8∼9일까지 의원들로부터 저축은행 사태 국정조사특위 참여 신청을 받는 데 이어 다음주 중 11명 규모의 특위 구성을 완료, 저축은행 부실 원인 및 비리의혹 규명 등에 나설 계획이다. 민주당은 정부여당의 전 정권 책임론과 폭로전에 대해 '물타기'라며 연일 차단에 나서고 있다. 다른 의혹도 연이어 제기하면서 공세도 강화하고 있다. 저축은행 진상조사위원장인 박지원 의원은 "부산저축은행과 여권의 유력 정치인 간 연결고리인 브로커 박태규씨가 김양 부산저축은행 부회장으로부터 지난해 7월6일, 13일 두 차례에 걸쳐 삼성동 오크우드호텔 옆 커피숍에서 6억원을 받았다"며 추가로 의혹을 제기했다. 박영선 정책위의장은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장이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 시절 수뢰혐의를받는 것과 관련, "이 정도면 한나라당은 남 탓, 전 정권 탓하지 말고 국민 앞에 사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학규 대표는 "이번 저축은행 게이트는 이명박 대통령의 잘못된 인사로 시작된 예고된 권력형 민생재앙"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