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화재 약탈 피해국 유물환수 공조 합의

韓·이집트등 7개국 카이로 국제회의… 외규장각 도서등 목록 제출

문화재를 약탈당한 피해국들이 유물 환수에 공동 대응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집트 문화재청 주최로 지난 8일(현지시간) 카이로에서 처음 열린 '문화재 보호 및 반환을 위한 국제회의'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그리스ㆍ이탈리아ㆍ중국ㆍ인도ㆍ이라크 등 유물을 약탈당한 경험이 있는 22개 국가 정부대표와 문화재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날 의장을 맡은 자히 하와스 이집트 고유물최고위원회 위원장은 "오늘은 유물을 빼앗긴 모든 국가들이 함께 싸우기로 합의한 뜻깊은 날"이라며 "문화재는 원 소유국으로 반환돼야 한다"고 천명했다. 하와스 의장은 또 "7개국이 우선 환수 유물 목록(wish list)을 제출했다"며 "다른 나라들은 본국에서 협의를 거쳐 한 달 내에 목록을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경훈 문화재청 국제교류과장을 단장으로 한 우리나라 대표단은 1866년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가 약탈한 외규장각도서와 1910년 한일 강제병합 때 강제 반출된 일본 궁내청 소장 조선왕실도서(661책)를 우선 환수 유물로 등록했다. 둘 다 현재 환수 추진이 진행 중인 유물인데다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재 반환에 대한 국제법적 강제 수단이 미비한 상황에서 이번 공동 결의가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집트는 독일 베를린 신(新)박물관의 네페르티티 왕비 흉상과 영국 대영박물관 로제타석, 프랑스 루브르박물관 '덴데라 사원의 12궁도' 등 5개 유물의 환수를 요구했다. 그리스는 19세기 초 영국 대사가 파르테논 신전에서 뜯어 간 벽화조각(일명 '엘긴 마블')의 반환을 촉구했다. 현재 유네스코 산하에 '문화재 반환촉진 정부 간 위원회(ICPRCP)'가 구성돼 있으나 이처럼 문화재 약탈 피해국이 한자리에 모여 공동 대책을 논의한 것은 처음이다. 참가국들은 문화재 반환에 대한 국제사회의 여론을 환기시키기로 했다. 일본과 영국ㆍ프랑스ㆍ독일 등 문화재 반환을 요구 받고 있는 주요국은 이번 회의에 불참했으나 향후 유물 반환과 관련한 세계적인 여론의 압박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