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鄭법무 '특검' 논의 본후 정할듯

盧대통령 'BBK 재수사' 지휘권 발동 지시<br>BBK 수사팀 거센 반발

노무현 대통령이 BBK 사건 재수사를 위한 검찰 지휘권 발동을 지시함에 따라 법무부는 16일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대책마련에 나섰다. 법무부는 당장 검찰이 이 사건에 대해 전면 재수사하도록 하지는 않고 17일 국회에서 논의될 예정인 ‘BBK 특검’ 결과를 지켜본 뒤 입장을 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성진 법무부 장관이 수사지휘권을 발동하면 임채진 검찰총장의 반응이 주목된다. 대검의 한 관계자는 “아직 입장이 정해진 게 없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양한 대응이 나올 수도 있다”고 밝혀 법무부와 검찰간 정면 충돌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실제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은 지난 2005년 10월12일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강정구(59ㆍ동국대 사회학과) 교수 사건에 대해 지휘권을 발동, 불구속 수사하도록 김종빈 검찰총장에게 지시해 김 총장이 사퇴하기도 했다. 검찰 BBK수사팀은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면서도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김홍일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는 “(재수사와 관련, 법무부로부터) 어떤 공식적인 통보를 받은 적이 없다. 입장표명이 필요하면 그때 밝히겠다”며 신중한 반응이다. 하지만 한달 이상을 밤을 세워 휴일에도 최선을 다한 수사 결과를 놓고 법무부가 수사지휘권을 발동할 경우 일선 검사들의 예상치 못한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간부급 검사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며 수사지휘권을 수용할 수 없다며 격앙된 분위기를 전했다. ◇지휘권 발동이란=현행 검찰청법 제8조(법무부 장관의 지휘ㆍ감독)는 ‘법무부 장관은 검찰 사무의 최고 감독자로서 일반적으로 검사를 지휘ㆍ감독하고 구체적 사건에 대해서는 검찰총장만을 지휘ㆍ감독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현행법은 그러나 검찰총장이 장관의 지휘를 따르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제재 조항은 없다.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