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화석화, 2차전지 양극재 사업 진출

내년 울산에 공장 건설

한화석유화학이 새로운 형태의 2차전지 양극재 사업에 진출한다. 한화석유화학은 내년 10월까지 울산2공장 내 약 5,600㎡ 부지에 중대형 2차전지용 리튬철인산염(LFPㆍLiFePO4) 양극재를 초임계 수열합성 공정으로 생산하기 위한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화석유화학은 지난 1996년 관련 프로젝트에 착수한 후 10여년 만에 초임계 수열합성 공정에 기반한 2차전지용 LFP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게 된다. LFP 양극재는 기존 양극재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리튬코발트산화물(LOCㆍLiCoO2)과 달리 주원료로 철을 사용해 값이 싸고 친환경적이다. 초임계 수열합성은 물에 대한 액체ㆍ고체ㆍ기체 상태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고온•고압의 영역에서 재료를 합성하는 공정을 일컫는다. 이번 공장은 우선 약 12만대의 하이브리드자동차(EV)에 쓰일 수 있는 연간 600톤 생산 규모다. 한화석화는 총 3,000억원을 투자해 오는 2015년에는 연산 1만2,000톤 규모까지 증설할 계획이다. 한화석유화학의 한 관계자는 "2020년 연간 7,000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양극재 시장을 주도해나가겠다"면서 "양극재는 2차전지 제조원가 중 25%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소재인 만큼 배터리 소재 국산화와 수출 확대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화석유화학 측은 "현재 LFP에 대해 국내외 메이저 배터리 및 자동차 회사들이 관심을 갖고 성능인증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관련 기술에 대해서도 국내외에 특허 출원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