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우리나라로 U턴 하려는 기업들은 중국 내수시장을 목표로 하는 생산기지는 유지하고 한국의 기업 여건변화에 따라 한국에 재투자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한ㆍ중 FTA가 체결되면 중국 내수시장 접근이 쉬워 한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어 U턴 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12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경기개발연구원 김은경 박사가 지난 1월 중국 청도ㆍ천진ㆍ소주에 진출한 도내 21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이전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들 가운데 30% 정도는 정부의 적절한 지원정책과 노동시장의 변화가 있다면 다시 한국에 진출할 의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중 5개 기업은 국내 복귀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 정밀금형분야 기업인 U사는 중국내 인력이직이 많고 노동력의 충성도가 떨어진다며 한국내 인력수급 문제만 해결되면 유턴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또 실리콘 캐스팅(엑세서리 기본부품 틀)제조업체인 B기업은 평택 등 자유무역지역으로의 이전을 희망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에 따라 중국내 진출기업(도내 본사 있는 기업)에 대한 광범위한 실태조사를 거쳐 도내 유치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는 중국이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면서 급속한 인건비 상승과 노동계약법 시행으로 중국 노동시장의 장점이 약화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으로 이전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노사분규 및 인건비 부담, 수도권규제로 인한 공장 신증설이 불허 등이 주된 이유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이들 문제가 해결되면 상당수 기업들이 U턴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이 국내에 재투자할 수 있는 여건조성을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권한확대 및 자율성 제고 ▦국내 재투자에 대해 외국인 투자지원에 해당하는 지원책 강구 ▦임대료지원을 통한 저 임대료 보장 ▦생산성과 경제발전에 맞추어 실질 임금하락 및 동결 ▦첨단업종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U턴을 고려하기 보다는 다른 나라로 이전을 고려중인 기업들은 노동집약적인 사업으로 인건비가 더 싼 중국, 베트남 등지로 이전할 의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의 불만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진출한 대만· 일본 기업들은 스스로 잘 협력하고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있는 반면 우리나라 기업들은 해외에서 방치돼 있어 중국 정부가 무시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야반도주하는 기업이 우리나라 기업 보다는 대만기업이 많은데 중국 정부는 한국기업만 부각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해외파견 국가기관들(코트라, 무역협회, 영사관 및 대사관)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활동해 해외에 이전해 있는 기업을 지원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