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건설사-저축銀 도미노 부실 우려

성원·남양건설등 3사에만 1兆가량 묶여<br>추가 부도땐 PF 우발채무 수조원 이를듯


건설회사들의 경영악화가 가속화되면서 저축은행의 부실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최근 법정관리에 들어가거나 워크아웃을 신청한 성원건설과 남양건설ㆍ대우자동차판매 등 세곳에 대한 직ㆍ간접 대출로 최대 1조원 이상의 돈이 묶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건설사들의 '위기설'이 현실화되면 저축은행들의 부실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건설사와 저축은행들의 부실 전이를 막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이들 3개 건설사에 대한 직접 여신이 2,500억원, 시행사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돈을 빌려주면서 받은 지급보증(우발채무)이 8,700억원에 달한다. 건설사(시공사)는 시행사가 원리금을 내지 못하면 이를 대신 내주는데 건설사가 부실화하면 저축은행은 직격탄을 맞게 된다. 앞서 워크아웃에 들어간 건설사와 추가 부도업체를 감안하면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PF시장에 묶이는 돈은 수조원대로 불어날 가능성도 있다.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우선 자금이 고정화되면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진다는 점에서 매우 큰 부담이다. 여기에다 직접 대출 부문에 대해서는 이자감면 및 일부 채무탕감,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을 해야 하는 이중 부담도 안게 된다. 미분양에 따른 건설사의 우발채무가 현실화되면서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을 신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축은행의 부실이 가속화하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셈이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1년 내 만기가 돌아오는 건설사들의 PF 우발채무는 무려 24조3,262억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건설사와 저축은행의 문제가 금융시장 전반에까지 퍼지지 않도록 저축은행에 보다 정교한 '메스'를 들이대는 한편 지방 미분양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가 가라앉으면서 건설사의 우발채무가 현실화되고 다시 이것이 저축은행의 경영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지방 미분양 해결 등 근본적인 대책 없이는 저축은행의 도미노 파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