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2.1GHz 주파수 누가 갖나" 이통업계 벌써부터 기싸움

내달 경매 통해 업체에 할당<br>이통3社 "우리가" 신경전 방통위 "중립안 이달내 만들 것"

이동통신업계에 오는 4월 주파수를 둘러싼 '혈투'가 벌어질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4월 2.1GHz 주파수를 이동통신사에 할당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경매를 통해 할당될 예정인 만큼 기싸움이 치열하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4월 주파수(2.1GHz 대역 중 20MHz) 경매를 앞두고 벌써부터 이동통신사들의 신경전이 한창이다. 이 주파수 대역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LG유플러스는 "주파수가 없어 애플이나 노키아, HTC, 모토로라 등의 스마트폰을 전혀 출시할 수 없는 상태"라며 "공정한 주파수 분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미 각각 60MHzㆍ40MHz씩 2.1GHz 주파수 대역을 보유하고 있는 SK텔레콤, KT도 간단히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미 60MHz를 갖고 있긴 하지만 전체 가입자 수와 데이터 트래픽 급증을 고려하면 SK텔레콤이 가져가야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KT 측은 "3세대(3G) 이동통신망 트래픽이 급증해 조기에 2.1 GHz 주파수를 할당받지 못할 경우 가입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대역은 지난 2000년 LG유플러스(당시 LG텔레콤)가 할당 받았다가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는 등의 이유로 반납한 대역이다. 그러나 현재는 데이터 트래픽 급증을 감당하는 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전세계 통신사업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핵심주파수'라 해외 제조업체의 단말기를 들여오거나 해외 이동통신사와 손을 잡고 글로벌 로밍상품을 내놓는 데 필수다. 이전까지 주파수는 정부에서 할당하는 방식이었지만, 지난해 6월 전기통신사업법이 개정되면서 경매 방식으로도 분배가 가능하게 됐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주파수 경매와 관련한 원칙을 마련하는 중"이라며 "이달 내로 중립적인 안이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정부와 학계 등은 주파수의 독과점 방지ㆍ경쟁 촉진을 위한 경매 참여자 범위 제한, 주파수 총량제 등을 검토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