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천안함 침몰] 외신 '침몰 미스터리' 집중조명

AP·로이터등 주요 외신도 침몰소식 긴급 뉴스로 전해

SetSectionName(); [천안함 침몰] 외신 '침몰 미스터리' 집중조명 美·中등 공식논평 삼간채 신중 권경희기자 sunshine@sed.co.kr

미국ㆍ중국 등 한반도 주변의 주요국들은 한국 해군 초계함 침몰사고 소식에 큰 관심을 보이면서도 공식적인 논평은 삼간 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외신들은 이번 사건의 원인에 대한 미스터리를 집중 조명하며 북한의 관련성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주요 외신들은 지난 26일 오후11시 한국 서해안에서 초계함 '천안호'가 침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를 긴급 타전한 데 이어 이틀이 지난 28일에도 천안함 구조활동 상황을 긴급 뉴스로 속속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 해군이 수색작업을 계속하고 있지만 46명의 실종자에 대한 구조 희망은 낮아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26일 밤 함선의 침몰 원인과 관련한 미스터리는 풀리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도 초계함의 침몰 원인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자세히 소개했고 인디펜던트지는 초계함 침몰사고의 풀리지 않는 원인이 남북관계에 긴장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에 주목했다. APㆍ로이터 등 주요 외신들도 일제히 사고 소식을 전하면서 특히 북한 관련성 여부에 관심을 보였다. 사고 해역이 수년 전 남북 간 교전이 벌어졌던 바로 그 해상이기 때문이다. 미국 국무부는 한국 해군의 초계함 침몰 원인을 예단하지 않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26일(현지시간)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차관보는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은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고 진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로부터 추가적인 진전 상황에 대해 설명을 들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연루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현 단계에서 결론을 내려서는 안 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대북 전문가인 브라이언 마이어스 동서대 교수는 2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고한 글에서 "한국 초계함 '천안호' 침몰사건으로 남북 간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며 "대북 전문가들이 북한의 현 상황을 붕괴 초입단계로 분석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건이 발생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마이어스 교수는 "향후 10년 내 북한이 파괴적 방식으로 붕괴의 길을 걷게 될 경우에 대비해 전세계가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당국은 공식 논평은 하지 않은 채 이번 사건이 한반도의 긴장 완화 추세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군사 전문가인 양용춘은 27일 "최근 한반도 정세는 긴장 완화 추세로 나아가고 있으며 6자회담도 올해 안에 재개될 수 있다"며 "이번 사건이 이런 긴장 완화 추세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대만에서는 마잉주 총통이 국가안보 체제를 즉각 가동할 것을 지시했다. 마 총통은 27일 이번 사태를 보고 받은 즉시 전군에 경계령을 내렸다. 로이터통신은 이명박 대통령이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할 때마다 관련 소식을 급전으로 보도하면서 이번 사고에 북한이 개입됐을 가능성은 낮다는 한국 국방부 관계자의 발언을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마이클 그린의 말을 인용해 "남한의 식량 지원 필요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최근 발언 수위를 낮춘 북한이 남한 배를 침몰시켰다면 놀랄 만한 일"이라고 분석했다. 아랍권 위성채널 알자지라 역시 사고 소식을 긴급 타전하며 한반도의 정세 변화에 관심을 보였다. 알자지라는 북한군의 특이 동향은 없었다고 전하면서 전 주한 미국대사관 해군 무관 폴 체임벌린의 말을 인용해 "설사 북한의 공격으로 판명되더라도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