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야 "부동표 잡아라"

접전지역 60~70곳 달해 표심 흡수 총력

접전지역이 최대 60~70곳에 달하는 등 4ㆍ9 총선 판세가 혼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동표 공략이 총선 승리의 열쇠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여야 지도부는 '안정론'과 '견제론', '경제 살리기'와 '한반도 대운하 저지' 등을 명분으로 부동층 흡수에 사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31일 각 정당과 여론 조사 기관들에 따르면 선거가 열흘도 남지 않았지만 부동층이 지역구별로 최대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00표 안팎에서 당락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여 이들 지역의 승패가 각 당의 목표 의석 달성에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부동표 흡수 작전으로 선거전 중반 이후를 양당 구도로 몰고 가는 전략을 세웠다.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친박 무소속 연대' 등으로 분화되면서 보수층 표가 분산된 만큼 과반수 확보의 필요성을 설파하면서 보수층을 결집시키겠다는 것. 이를 위해 탈당한 무소속 후보와 경쟁 지역에서는 복당 불허 방침을 통해 '탈당자=비(非) 한나라당'이라는 이미지를 굳히고, 다른 지역에서는 안정론을 펼치는 등 이원화 전략을 세웠다. 통합민주당은 부동표를 잡는 것에 사활을 걸다시피 하고 있다. 주말 사이 자체 실시한 비(非) 호남지역 여론조사에서 우세가 확실한 '안전지대'의 수가 급감한 대신, 보수층이 결집하면서 한나라당과의 경합지역이 늘어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당에 우호적인 젊은 층을 중심으로 투표율 제고에 총력을 집중키로 하고, 당내 '유비쿼터스 위원회'를 가동하거나 온라인 유세 등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 대운하 저지를 명분으로 견제론을 확산시켜 부동층을 끌어들이겠다는 전략이다. 자유선진당은 이른바 '공7 지3' 전략 아래, 당력의 70%를 공중전(신문ㆍ방송 등)에 쏟아 붓고 30%는 지상전(구전 활동)을 통해 선진당의 이미지 각인에 나서기로 했다. 이밖에 친박연대는 자신들을 지지하더라도 같은 보수성향의 정당인 만큼 이명박 정권의 안정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민주노동당 등 진보 정당들은 등록금 문제 등을 고리로 진보성향이 강한 젊은 세대의 표심을 잡기 위해 총력을 쏟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