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인 25% "불안 안고 산다"

건강·경제상태·대인관계가 주원인<br>혼자 참기·술·담배·커피로 해결

한국인 4명 중 1명은 자신이 '불안한 상태에 있다'고 생각하며 6%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만큼 심각한 상태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불안장애학회(이사장 권준수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교수)는 지난 3월 전국의 20~69세 성인 1천명(남녀 각 500명)을 대상으로 불안에 대한 전화 조사를 실시해그 결과를 12일 대한불안장애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학회는 21가지 불안 설문을 이용해 불안상태를 파악하고 음주.흡연.카페인 섭취, 불안의 원인, 해소 방법, 치료 여부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25%는 자신이 전반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다'고 평가했으며 6%(59명)는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라고 응답했다. 불안 증상으로는 '소화불량(49%)', '어지러움 또는 현기증(44%)', '가슴 두근거림(41%)', '몸이 저리고 쑤시거나 감각이 마비된 느낌(36%)', '편히 쉴 수 없음(31%)', '자주 얼굴이 붉어짐(26%)',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두려움(27%)' 등을 호소했다. 불안의 주된 원인은 본인의 건강상태(39%), 경제적 어려움(36%), 타인과 갈등(32%) 등의 순이었다. 또 불안 해소 방법은 혼자 참거나(39%), 식음료 섭취(36%, 술ㆍ담배ㆍ커피가 대부분) 등 건강하지 않은 방법이 많았으며 가까운 사람과 대화(32%)를 시도한다는 대답도 상당 수 있었다. 그러나 심각한 불안을 호소한 6%의 응답자 중 실제로 불안관련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19%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치료를 받지 않는 사람들 중에도 27%만이 앞으로 치료를 고려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를 발표한 전북대병원 정신과 정상근 교수는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사건, 사고도 빈발하는 등 사회적 불안 요소가 많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불안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불안 불감증'이 확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동양 문화권에서는 이 문제와 관련해 도움을 요청하는 데 소극적인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불안 증상이 심한 경우 상담치료, 인지ㆍ행동치료, 정신분석 치료 등을 받을 수 있으며 중증인 경우 약물 치료도 고려할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많은 사람이 불안을 경험한다면 불안과 대처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며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긍정적 사고와 규칙적인 운동, 술ㆍ담배ㆍ커피 등자극성 기호품의 자제, 이웃에 대한 배려와 이해가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 학회 참가자는 "동양인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신체 증상으로 표현하는경향이 있는데 평가 내용에 신체 증상이 많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조사 결과가 일부과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의학전문기자ㆍ가정의학전문의>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