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北 미사일 발사] 미·일·중 반응

"국제사회 중대 도발" 규정, 초강경 경제제재 가능성<br>미국-NSC 소집 유엔안보리 회부키로<br>일본-北선박 입항 금지·정보수집 총력<br>중국-논평 자제…중재자 역할 힘쓸듯

[北 미사일 발사] 미·일·중 반응 "국제사회 중대 도발" 규정, 초강경 경제제재 가능성미국-NSC 소집 유엔안보리 회부키로일본-北선박 입항 금지·정보수집 총력중국-논평 자제…중재자 역할 힘쓸듯 베이징=고진갑 특파원 go@sed.co.kr 문성진기자 hnsj@sed.co.kr 미국과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강행을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로 규정하고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초강경 보복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미ㆍ일 양국은 미사일 발사 직후 긴급 각료회의를 열어 유엔 안보리 회부와 경제제재 등 다각적 제재방안 검토에 들어갔다. 유엔은 안보리 소집을 전격 결정했다. 중국도 내심 당황하고 있다. 드러내놓고 북한을 비난하지는 않고 있지만 간곡한 만류를 뿌리친 미사일 발사 강행에 깊은 '배신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북한 안보리 회부= 미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 미리 준비해둔 대응행동에 착수했다.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은 4일 저녁(현지시각) 한국ㆍ일본ㆍ중국 등 북한 주변국 외교장관들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 미사일 발사 문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존 볼턴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유엔 안보리를 긴급 소집, 북한 미사일 발사 문제의 안보리 회부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이날 저녁 늦게 공식성명을 통해 "북한이 국제사회의 자제 요청을 무시하고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다른 나라들을 협박하는 도발행위"라며 "우리 스스로와 동맹 보호에 필요한 모든 조치들을 계속 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핵 6자회담 참여국들을 비롯한 주요 동맹들과 실무협의는 이미 진행 중이며 앞으로 24~48시간내 미국의 대북문제 외교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될것"이라고 밝혀 미국의 대응행동이 곧 구체적인 윤곽을 드러낼 것임을 예고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첫 발사부터 이후 계속된 발사 때마다 즉각 해들리 보좌관으로부터 전화 보고를 받았다. 부시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그동안 예상돼온 만큼 특별히 놀라지는 않았다고 해들리 보좌관은 전했다. 해들리 보좌관은 "부시 대통령이 직감(instinct)적으로 북한의 이번 행동을 국제사회에 대한 도전으로 느꼈을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일본, 대북 경제재재 강력 추진= 일본 정부는 5일 긴급각료회의를 열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북(對北) 제재조치로 북한 화물여객선 '만경봉 92호'의 입항을 6개월간 금지하기로 했다. 또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따라 주일미군과 합동으로 경계태세를 대폭 강화하고 미사일 추가발사 등의 정보수집에 총력을 쏟고 있다.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郞) 방위청 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자위대에 미사일 낙하 지점의 수색과 추가 발사에 대한 경계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 오전 일본 남단 오키나와현 주일미군 가데나기지에서는 전자정찰기 RC135W가 이륙해 북한 미사일 정보수집에 나섰고,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오타루(小樽)항에 입항해 있던 미 항공모함 키티호크가 이지스 순양함 카우펜스호 및 해상자위대 호위암 '유우기리'와 함께 출항했다. 일본은 특히 이번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해 유엔 안보리 차원의 제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외상은 "북한선박 입항금지를 포함한 대북(對北) 경제제재조치를 강력추진하겠다"며 "유엔에 이미 안보리 소집을 요청했으며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 향후 대처방안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유엔은 5일 안보리를 소집, 북한이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다. 안보리 7월 순회 의장국인 장 마르크 들라 사블리에르 유엔주재 프랑스대표부 대사는 4일 주요 매체에 보낸 e메일 메시지를 통해 "일본으로부터 안보리 소집 요구를 받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국, 중재자 역할 강화=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결행에 대해 중국 정부는 이날 오후 늦게 공식 논평을 내고 관련국들의 침착한 대응을 촉구했다.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번 사태를 엄중히 지켜보고 있다"며 "관련국들이 침착하고 자제하는 태도로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와 안전에 이익이 되도록 행동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동안 중국은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고,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며, 6자회담에 진전을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며 "앞으로도 관련국들과 함께 건설적인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의 이 같은 입장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분노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직접 나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면으로 거스른 북한의 행동에 중국 정부가 강한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소식통은 "중국이 동북아 역학관계를 감안할 경우 북한에 대한 제재는 없을 것"이라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북한과 서방 사이의 갈등에 대한 중재자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입력시간 : 2006/07/05 17:4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