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企 공동워크아웃 지지부진

외국계銀 전혀 참여않고 市銀도 미온적<br>작년 19개서 올 1분기 1개사 증가 그쳐

금융감독당국이 시중은행에 중소기업 워크아웃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있으나 외국계 은행들이 전혀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중소기업 워크아웃제도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한국계 시중은행도 중소기업 살리기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채권은행의 2005년도 중소기업 워크아웃 추진실적’ 자료에 의하면 시중은행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공동 워크아웃 기업은 지난해 19개사에서 올 1ㆍ4분기에 20개사로 1개사가 늘어나는 데 그쳤고 개별 은행의 워크아웃 기업은 지난해 말 844개사에서 1,174개로 증가했다. 개별 워크아웃이 늘어나고 있지만 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 등 외국계 은행은 단 1개사도 워크아웃을 추진하지 않았으며 대구은행도 전무했다. 중소기업 워크아웃은 지난해 7월 일시적 자금난으로 경영위기가 빠지거나 전 단계에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만기연장ㆍ신규대출 등으로 정상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3월 말까지 9개월간 1,400개 업체가 워크아웃 대상에 포함됐으며 채무조정 규모는 1조8,568억원이며 80% 이상의 채무 만기가 연장됐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신한ㆍ우리은행등이 적극적으로 개별 워크아웃을 진행하면서 올해 1~3월에 457개 중소기업이 추가로 신규 워크아웃 대상기업으로 선정됐다”면서 “워크아웃을 졸업한 중기도 53개사, 중단한 곳은 97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제일ㆍ씨티 등 외국계 은행과 산업ㆍ농협ㆍ수협 등 국책 및 특수은행들과 대구ㆍ전북ㆍ부산은행 등 지방은행들도 워크아웃실적이 10개사에 미달하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금감원은 은행별 기업여신 담당 임원을 대상으로 워크아웃 참여를 독려하는 한편 실적이 부진한 은행들에 대해서는 개별 지도 등을 통해 중소기업 워크아웃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해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