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사회통합수석실, 공정사회 구현에 ‘올인’

통합민원처리센터 만들기로… 기부촉진 사업도

청와대 사회통합수석실이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핵심기조인 ‘공정한 사회 구현’을 위해 가칭 ‘통합민원처리센터’(가칭)를 구성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쏟기로 했다. 7일 청와대에 따르면 사회통합수석실은 정부 행정의 결과에 대해 ‘불공정하다’, ‘억울하다’는 인식을 갖는 사람들이 없도록 가칭 ‘통합민원처리센터’를 만들기로 했다. 각 부처마다 민원을 처리하는 부서가 있지만 통상 복합적 성격을 갖는 민원을 접수ㆍ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고 부처간 책임을 서로 떠넘기는 경우도 있어 국민들의 불만이 적지않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사회통합수석실은 이를 통해 민원 접수는 물론 처리와 사후 점검까지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신설해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사회통합수석실은 또 우리 사회의 약자들과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불공정한 사례에 따른 피해가 없는지 살펴보기로 했다. 추석 이후 조를 나눠 저소득층, 장애인, 외부모 가정, 조손 가정, 다문화 가정 등의 구성원들과 지속적으로 면담을 한 뒤 공정하지 못한 관행이나 제도로 피해를 보는 일이 없었는지 점검할 예정이다. 아울러 평소 청와대나 중앙 부처와 직접 접촉할 기회가 없는 지역 시민단체들과도 만나 얘기를 들어보기로 했다. 사회통합수석실은 이와 함께 ‘노블레스 오블리주(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의무)’가 뿌리내리도록 유ㆍ무형의 기부를 촉진하는 사업도 벌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선진국처럼 자신의 이름을 걸고 기부하는 개인에게 존경과 박수가 쏟아지는 문화를 만드는데 주력키로 하고 여러가지 방법을 고민중이다. 특히 돈이나 식품 등과 같은 유형의 기부뿐 아니라 취약계층의 학습 지원, 기술 전수 등 무형의 기부 방식을 확산시키기로 해 주목된다. 사교육을 받을 수 없는 취약계층 아이들이 ‘공정한 기회’를 보장받도록 공짜 학원교습 등을 제공하거나 재취업을 원하는 실직자들에게 무료 기술강습을 해주는 등의 기부 방식을 정착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성권 시민사회비서관은 “우리 사회가 불공정하다는 인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사회 통합은 요원하다”면서 “공정한 사회를 실현해 억울한 사람이 없고 각자의 성공을 존경하는 분위기를 만들고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