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난한 집 아이가 살 빨리 찐다

부잣집 아이 보다 두배 높아<br>영향 불균형이 비만 주원인<br>성인병 등 유발… 대책 시급


가난한 집 아이들에게서 비만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소아ㆍ청소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고 다시 각종 성인병을 유발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1일 보건복지부와 대한비만학회가 지난 1998년과 2007~2009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득 상위 25% 가정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6.6%에서 5.5%로 감소한 반면 하위 25%는 5%에서 9.7%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저소득층 소아·청소년 비만이 증가한 주요 원인으로는 영양 불균형이 꼽혔다. 소득 하위 25% 가정의 소아·청소년은 에너지 섭취량이 235㎉ 늘어났지만 다른 소득층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루 지방 섭취량도 하위 25%에서는 15.4g 늘어난 데 비해 상위 25% 계층에서는 8.1g 늘어나는 데 그쳤다. 비만학회와 복지부는 지방 함량이 높은 값싼 고열량 저영양식(패스트푸드) 섭취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고소득층 어린이와 청소년은 살이 찌지 않는 웰빙 음식과 채소ㆍ과일을 많이 먹어 비만율이 낮은 반면 저소득층은 맞벌이 부부가 많아 아이에게 직접 요리를 해주지 못해 패스트푸드로 때우는 경우가 많다. 소아ㆍ청소년 비만 인구율은 1998년 5.8%에서 2009년 9.1%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비만이 사회문제화하는 추세다. 비만은 만성질환으로 이어져 연간 1조8,000억원에 가까운 사회경제적 비용을 부담시키고 있어 조기예방이 필수적이다. 실제로 소아ㆍ청소년 비만의 68%가 성인비만으로 이어지고 소아ㆍ청소년 비만자의 37.5%에서 이미 당뇨병ㆍ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이 발생하고 있다. 복지부는 오는 16일 비만의 날에 앞서 전문 학회, 건강단체 등과 함께 비만 예방 실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펼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기준 강화, 식생활 개선 홍보, 규칙적인 운동실천 홍보 등 적극적인 비만 예방대책을 수립해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