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경제 무역의존도 역대 최고 수준

2년째 100% 웃돌아<br>글로벌 침체따라<br>경기 급강하 우려


한국 경제의 무역의존도가 2년 연속 100%를 웃돌며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대외의존도가 높아진 만큼 글로벌 경제침체에 따른 영향도 커진 셈이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 60~70%대에 머물렀던 무역의존도는 2000년대 중반부터 급격히 올라 지난해 113.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무역의존도는 국민경제가 무역에 얼마나 의존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수출입총액을 국민총소득(GNI)으로 나눈 비율로 나타낸다.


무역의존도는 지난 2006년 처음으로 80%를 넘어선 뒤 2008년에는 110.7%까지 치솟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98.8%로 잠시 내려앉았지만 2010년 105.2%, 2011년 113.2%로 다시 뛰어올라 2년 연속 100%를 돌파했다. 특히 올해 1ㆍ4분기에는 116.3%까지 올랐다.

관련기사



최근 2년 무역의존도의 고공 행진은 한국 경제가 금융위기를 무역 확대로 극복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처럼 무역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국내 경기가 세계 경제의 부침에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되므로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국내 경기의 급강하가 우려된다. 무역의존도가 높더라도 세계 경제가 호황을 누려 수출이 잘 될 때는 경제성장이 두드러지지만 반대로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지면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어서다. 이태환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무역의존도가 높고 내수 비중이 낮은 우리나라는 외풍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세계 경제가 출렁이면 우리는 더 크게 출렁인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올 상반기 수출 증가율이 지난해 동기 대비 0.7% 수준으로 뚝 떨어지자 2ㆍ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3개월 만에 최저치인 2.4%로 내려앉았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외의존도가 높아 경기변동성이 크면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어렵다"며 "내수 활성화와 서비스업 육성을 위한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