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복제양 돌리만든 월머트박사 황우석 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이언 윌머트(왼쪽) 박사가 6일 서울대 문화관에서 가진 ‘일반대중을 위한 생명과학 특강’강연 도중 황우석 교수와 이야기하고 있다. /최흥수기자

최초의 복제동물 ‘돌리(羊)’를 탄생시킨 영국의 윌머트 박사가 서울대 황우석 교수에게 ‘루게릭병’ 줄기세포 치료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자는 제안을 하고 나서 성사 여부가 주목된다. 지난 4일 방한한 영국 로슬린연구소 이언 윌머트(60ㆍIan Wilmut) 박사는 6일 서울대 수의과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황 교수팀이 보유한 배아 줄기세포 기술과 루게릭병에 대한 (영국 연구팀의) 노하우를 합하면 새로운 치료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같이 제안했다. 황 교수는 이에 대해 “아직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도 “윌머트 박사가 제안해 온 방법으로 루게릭병에 대한 새로운 줄기세포 치료법을 개발한다면 ‘스템셀(Stem cellㆍ줄기세포) 쓰나미’라는 단어가 붙을 수 있을 정도로 파급효과가 크다”면서 공동연구에 적극 나설 뜻임을 내비쳤다. 루게릭병은 영국의 천재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신경의 괴사와 근육의 퇴화가 주 증상이다. 윌머트 박사는 황 교수를 파트너로 선정한 데 대해 “세계적으로 복제배아 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황 교수만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