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설명절 부모님 척추건강 체크하세요

오랜만에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되는 설명절은 부모님의 건강을 체크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특히 척추건강을 눈여겨 보는 것이 좋다.

노인성 척추 질환은 개인에 따라 정도와 증상에 차이가 있으나 조기에 알아채기 어렵다는 것이 특징이 있으며 크게 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이 있다.


노화로 디스크(추간판)의 수분이 소실되어 탄력을 잃고 부피가 줄어들며 염증 소견이 나타나는 디스크가 척추 뒤 신경을 자극하며, 디스크와 함께 간혹 덧자란 뼈조직이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도 있어 통증에 시달리게 된다.

디스크, 척추관협착증 등 노인성 척추질환은 단순한 노화의 현상이 아닌 질환으로, 허리와 골반이 아픈 경우가 많고, 자극하는 신경에 따라 허리만 아프기도 하고 다리만 아프기도 한다.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면서 악화되기 때문에 조속한 치료가 중요하다.

관련기사



협착증은 척추신경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나 신경공이 좁아져서 척수나 신경근을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증상이 나타난다.

보통 노화로 인해 척추뼈와 주변 인대 및 근육이 퇴행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50대 이상 장노년층이 많이 시달리는 질환이기도 하다.

뼈가 가시처럼 덧자라서 척추관이 협착되거나 척추 뒤쪽의 인대가 두꺼워져서 척추신경을 압박한다.

나누리강서병원 박정현 원장은 "전형적인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앉아있을 때는 괜찮으나 걷게 되면 다리가 저리고 무거워 오래 걷기 힘들어, 가다서다를 반복하게 되며, 진행하면 조금 걷다가 쪼그려 앉았다가 다시 걷다가 하는 간헐적 신경인성 파행을 보이게 된다”며 “허리를 꼿꼿이 펴는 자세에 통증을 느껴 걸어 다니거나 앉아있을 때 자신도 모르게 허리를 구부정하게 굽히는 경우에는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고 말했다.

디스크도 가운데로 넓게 튀어나온 경우 협착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노인의 경우 협착증과 디스크가 같은 부위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고 여러 부분 증상이 겹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디스큰지 협착증인지를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노인의 척추 질환은 '디스크의 변화, 관절의 변화, 통증, 운동 감소, 근력 약화, 디스크의 악화’의 악순환의 과정을 거치며 발생되는 만큼 부모님의 자세나 걸음걸이를 유심히 살펴보고 평소와 다른지 체크해서 퇴행성디스크나 척추협착증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빨리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