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올 세번째 전경련 회장단 회의… '대기업 때리기'에 웅크린 재계

4대그룹 총수 불참 "현안 해결에 최선"<br>무난한 내용만 발표<br>연기금 주주권 등 민감 사안에 말 아껴


재계가 정부의 파상공세에 일제히 함구하며 잔뜩 몸을 웅크렸다. 동반성장 등 정부의 요구사항에 원론적으로 찬성한다고 했지만 마지못해 시책을 따르는 '억지 춘향' 기류가 완연하다. 또 일각에서는 "지난 3일 이명박 대통령이 '기업을 잘되게 하는 기본원칙'을 언급했지만 오히려 강제적이고 반시장적인 대기업 정책이 도를 더하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올 들어 세 번째로 열린 전경련 회장단 회의는 4대그룹 총수가 모두 불참해 개최 전부터 맥 빠진 분위기를 연출했다. 회의에 나온 허창수 전경련 회장을 비롯해 이준용 대림산업 명예회장 등 재계 총수들은 한결같이 굳은 표정으로 말을 아꼈다. 섣불리 정부 정책에 대한 말을 꺼냈다가 '설화'를 입을까 조심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회의 직후 밝힌 발표문에는 "주요 현안인 물가안정과 투자확대를 통해 서민생활 안정과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는 상투적인 내용만 담았다. 다만 동반성장에 대해서는 정부와 미묘한 시각차이를 드러냈다. "기업의 자율적 참여가 활성화되도록 '시장과 기업 현실에 맞는' 동반성장 제도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기에 따라 강제적이고 반기업적인 정운찬식 동반성장에 이견을 명확히 한 것처럼 비친다. 그러나 발표문에는 최근 핫이슈가 되고 있는 동반성장 총수 책임론이나 연기금 주주권 행사와 같은 민간한 사안과 관련한 지적은 전혀 없었다. 이는 16일 이명박 대통령이 '2011 중소기업인대회'에서 대기업 총수의 실적 위주 경영이 중소기업을 희생시키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 이후 재계가 크게 위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같은 날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거래를 '을사조약(을이 죽는 계약)'이라고 표현하며 이익공유제 강력 추진 방침을 거듭 밝혀 재계를 더욱 난감하게 하고 있다. 이에 더해 18일 곽승준 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과 이주영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이 공적 연기금의 대기업 주주권 행사를 사실상 합의, 재계의 긴장감은 극에 달한 상태다. 재벌 총수의 지배권에 메스를 가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조치라는 점에서다. 올 들어 지난 4개월여의 과정을 반추해볼 때 이 대통령의 속내가 '공정사회'를 위한 재벌 개혁에 있다는 게 여실히 증명됐다는 것이 재계의 지배적 시각이다. 이뿐만 아니라 3월10일에 열린 전경련 회장단 회의에 참석한 이건희 회장이 정 위원장의 초과이익공유제를 정면 반박했다가 곤혹을 치른 일도 있어 재계 총수들을 더욱 움츠리게 하고 있다. 한편 전경련 사무국은 이날 3월 회장단 회의에서 제시한 한국경제 비전 2030(GDP 5조달러, 1인당 국민소득 10만달러, 세계 10대 경제강국)과 관련해 ▦경제 인프라 확충 ▦산업기술 역량 강화 ▦사회적 자본 축적 ▦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주력산업 강국 ▦신성장산업 선도국 ▦모두가 잘사는 사회 등 7대 과제를 중심으로 한 단계별 추진전략을 회장단에 보고했다. 이날 회의에는 허 회장과 이준용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박용현 두산 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현재현 동양 회장, 강덕수 STX 회장, 정준양 포스코 회장, 최용권 삼환기업 회장, 김윤 삼양사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류진 풍산 회장, 정병철 전경련 부회장 등 13명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