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자산운용업 진출 활발

"이자수입만으론 한계" 수익원 다변화 노려

은행들의 자산운용업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이자수입만으로는 성장 한계에 이르렀다는 판단에 따라 수익성 다변화 전략의 하나로 자산운용업 진출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지난주 금융감독원에 프랑스 종합금융그룹인 소시에테제네랄(Societe Generale AsManagement)과 함께 기은SG자산운용(가칭) 설립을 위한 예비허가를 신청했다. 자본금 200억원으로 출범하는 기은SG자산운용에는 기업은행과 소시에테제네랄이 각각 50%씩 출자할 예정이다. 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자산운용업 진출을 통해 수익 분야를 다양화할 계획”이라며 “금감원의 예비허가가 나온 뒤 이른 시일 내에 본허가를 얻어 본격적인 영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나은행도 알리안츠와의 합작회사인 하나알리안츠투신운용을 자회사로 두고 있지만 독자적인 자산운용업 진출을 위해 지난달 금감원에 자산운용업 겸업 인가 신청서를 냈다. 하나은행은 대투증권 매각협상대상자 선정에서 탈락함에 따라 독자적인 자산운용업 진출로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KB자산운용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국민은행도 자산운용 분야 강화를 위해 내부 전문인력 스카우트에 이어 외국계 금융기관과의 전략적 제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신한BNP투신운용을 자회사로 거느린 신한지주도 외국 금융기관과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금융도 우리투신운용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 중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와 부동산 시장 침체로 기존 수익원이 위협받고 있는데다 선진국형 수익구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수료 수입의 발굴이 필요하다”며 “간접투자상품 판매시장을 선점해야 생존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