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한국 배추 일본産보다 낫다" 박건영 교수, 김치비교 논문


"우리나라 배추가 일본산보다 수분은 적고 영양분은 더 많아 김치를 담가 숙성시키면 더 아삭아삭하고 맛과 기능성을 높이는 젖산균이 풍부합니다. 항암효과도 훨씬 뛰어납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대표적 배추를 비교한 연구논문을 발표한 박건영 부산대 식품영영학과 교수는 26일 "한국이 김치 종주국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배추인 전남 해남의 겨울황과 구동풍, 일본의 대표적 배추인 이바라키 황심과 아이치 황심을 비교해 '한국 및 일본 배추를 이용한 김치의 품질 특성 및 암 예방효과'라는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박 교수는 "한국산 배추로 김치를 담가 4주간 숙성한 뒤 측정한 탄력성은 53.5%로 일본산(41.4%)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는 한국산 배추김치가 아삭아삭한 맛을 더 낸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숙성한 한국산 배추김치는 총 균 수가 일본산보다 적은 반면 신맛ㆍ탄산맛을 내는 젖산균 수는 일본산보다 많았다. 부패균은 서서히 자라고 맛과 기능성을 높이는 젖산균은 빨리 자란다는 의미다. 특히 AGS 인체 위암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6주간 숙성한 한국산 배추김치의 암세포 성장 억제율은 57~77%로 같은 기간 숙성한 일본산 배추김치(40~60%)를 능가했다. HT-29 인체 결장암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한국산 배추김치의 암세포 억제율은 62~73%로 일본산(52~63%)보다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