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투 정상화대책] 정부입장과 후속조치

"시장신뢰속 매듭" 평가현대투신 문제의 정부측 메신저 역할을 해온 진동수(陳棟洙)금감위 증선위원의 얼굴은 예상보다 환했다. 현투에 대한 유동성 지원문제를 놓고 열흘 가까이 옥죄었던 「명분」을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됐기 때문. 정부로서는 지난해 이건희(李健熙)삼성회장의 사재출연에 이어 또한번의 「총수출자」를 이끌어내 오너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상징적 효과와 함께 투신구조조정의 큰 산을 넘었다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둔 셈이다. 정부는 현대투신의 정상화계획중 무엇보다 「담보부분」에 비중을 두고 있다. 총수출자가 개벌개혁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의미를 지닌다면, 1조7,000억원에 이르는 담보는 정상화를 「답보」할 수 있는 장치임에 틀림없기 때문. 3일 밤늦게까지 현대측에 담보부분을 강도높게 요구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이른바 「개런티」를 보장받아야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논리였다. 정부는 이번 정상화계획으로 일단은 현투의 정상화 기반이 구축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陳위원은 『연말까지 1조2,000억원의 자구에 실패할때 이를 메꿀 수 있는 보완장치(담보)를 위임장 형태로 확보한데다 한투·대투보다 현투의 경영개선능력이 낫다』고 설명했다. 담보 효력에 대해서도 긍정적이다. 陳위원은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다』고 정의했다. 현대정보기술은 쌍용정보기술, 현대백배는 한진택배와 연결지어 평가가격이 적당하며, 오토넷은 유망한 사업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이 지난해 삼성차 해결을 위해 내놓은 삼성생명의 주당가치(70만원)와 비교도 했다. 정부는 내놓은 현대투신 대책은 크게 세가지. 첫번째는 유동성 지원대책으로 금감위는 현투는 자본이 잠식돼 투자가들이 불안감을 갖고있는 것일뿐, 유동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지적했다. 지원요청이 오면 검토할 수 있으나, 현대측이 실세금리를 떠안으며 받으려하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둘째는 투신전체정책과 맞물린 연계콜 문제. 이미 지난주말 재경부 당국자가 국제통화기금(IMF)와 협의해 해소시기를 연기할 수 있다고 밝힌 바있다. 陳위원은 『연말까지 현투측이 최대한 해소노력을 하되, 안될 경우에는 하반기께 연기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고 전했다. 금감위의 마지막 대책은 경영정상화의 지속적인 이행여부. 정부는 조만간 현대투신으로부터 이번 정상화계획을 토대로한 수정정상화계획을 받을 계획. 이를 통해 분기별 점검을 해나가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금감위 고위관계자는 『다행이 현투문제가 「시장의 신뢰」속에 매듭지어진 만큼 내주중 한투·대투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일정만 확보되면 투신구조조정의 하드웨어 구축은 큰 산 하나를 넘게 된다』고 밝혔다. /김영기기자 YGKIM@SED.CO.KR 김영기기자YGKIM@SED.CO.KR 입력시간 2000/05/04 17:17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