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동차등 3개업종, 노동생산성보다 임금상승율 높아

자동차, 전기ㆍ전자, IT(정보기술) 등 3개 업종은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임금상승률을 앞질렀으나 석유화학ㆍ섬유 등 7개 업종은 노동생산성에 비해 임금상승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산업자원부는 92~99년 8년간 주요 10개 업종을 대상으로 노동생산성동향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업종별로 노동생산성과 임금을 비교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기ㆍ전자(21.7%)와 IT(27.4%), 자동차(12%), 석유화학(15.7%), 비철금속(12.4%) 업종은 노동생산성이 이 기간에 두자리수의 증가율을 나타낸 반면 철강(7.1%), 기계(7.1%), 섬유(9.7%), 생활(9.2%) 등의 업종은 상대적으로 낮아 이 기간 산업양극화가 급속도로 심화됐음을 반영했다. 그러나 이중 노동생산성이 높은 전기ㆍ전자, IT, 자동차 3개 업종의 임금 상승률(피용자보수 기준)은 노동생산성 증가율보다 각각 9.1ㆍ 20.9ㆍ3.7%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노동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철강과 석유화학의 임금상승률은 노동생산성 증가율보다 각각 5.8, 2.8%포인트 높았으며 ▲ 섬유(1.2) ▲ 생물(0.7) ▲ 조선(1.7) ▲ 비철금속(1.2)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산출물 1단위 생산에 드는 노동비용을 의미하는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전기ㆍ전자(-7.0%), IT(-16.3%), 자동차(-2.1%)가 마이너스를 보였으나 나머지 업종은 0.7∼5.5%의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자부 관계자는 "임금이 생산성보다 높은 것은 물가압력은 물론 기업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라며 "산업별 편차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만큼 업종별 특성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임금인상을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구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