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15개 'BBB-' 건설사 집중지원

부실 수조원 달해…"금융불안 핵으로 도산땐 은행권까지 타격"<br>채권시장안정펀드 지원 대상에도 포함될듯


정부와 한국은행의 시장안정대책이 15개 안팎의 신용등급 BBB- 중견 건설사로 정밀 조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10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채권시장안정펀드의 타깃도 당초 BBB+ 이상 회사채에서 이들 업체 쪽으로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한은과 금융위원회는 현 금융시장의 핵심 뇌관을 BBB- 건설업체로 파악하고 지원방안에 대해 다각도로 협의하고 있다. 현재 심각한 자금난에 봉착한 신용등급 BBB- 건설업체는 대략 15~17개로 이들 업체가 지급 보증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매입 약정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등 부채비율에 잡히지 않는 우발채무 규모는 15조원가량으로 추정됐다. 당국은 이 가운데 부실규모가 수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당국의 한 핵심관계자는 “현재 금융시장 불안의 핵은 BBB- 건설사의 자금난”이라며 “이들 업체당 차입규모(보증 등 우발채무 포함)는 평균 1조원에 달해 자칫 무너질 경우 저축은행은 물론 은행권까지 위태로워지면서 금융 시스템 전체가 망가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C&우방의 경우 직접 건설 중인 PF대출 관련 프로젝트는 세 군데지만 지급보증으로 연관된 PF는 21개에 달할 정도로 이들 업체의 잠재 위험도가 큰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문제는 생사의 기로에 놓인 이들 업체들이 대주단 협약을 꺼린다는 점이다. 채무 만기연장 등을 위해서는 가입해야 하지만 가입했을 경우 부실기업이라는 인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과 금융위는 이런 점을 감안해 채권안정펀드의 주타깃을 이들 업체로 조정하려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BBB+ 이상 기업들은 어렵기는 해도 버틸 수는 있고 캐피털 업체들도 은행권의 신용라인을 늘려주면 괜찮아질 수 있다”며 “따라서 채권안정펀드는 금융시장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BBB- 건설사 회사채와 ABCP 지원에 포커스를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 역시 채권안정펀드의 매입 대상을 당초 BBB+ 이상 우량채권에서 그 이하 채권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신용등급이 낮은 채권은 신용보증기금이나 기술보증기금의 보증을 보강해 BBB+ 이상으로 등급을 끌어올린 뒤 매입하는 방식을 취할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채권안정펀드의 매입 대상에는 ABCP는 물론 신용보강을 통해 등급이 낮은 회사채도 포함될 수 있다”며 “이 펀드는 일시적 유동성 문제를 겪는 기업과 금융회사의 막힌 자금줄을 풀어주기 위한 것으로 투자 대상을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한은이 1차로 5조원 안팎의 자금을 은행권을 통해 우회적으로 지원, 채권안정펀드 자금을 조성하는 방안을 이번주 내에 마무리 짓고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