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친박계 당내 목소리 높인다

예산안·FTA비준등 당론과 다른 입장…현안처리 변수로

한나라당 내 친박근혜계가 이명박 정부의 각종 개혁법안과 내년 예산안 처리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와 측근 의원들이 최근 잇따라 핵심 현안에 대해 당론과 다른 목소리를 내는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친박근혜계 중진인 홍사덕 의원은 12일 열린 당 최고위원ㆍ중진의원연석회의에 참석, 공개적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신중론과 대야관계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며 전면에 나서는 모양새를 취했다. 홍 의원은 한미 FTA 비준안 처리와 관련, "이번 정기국회 회기 내에 처리해야 하는가를 놓고 끝까지 가는 토론을 요청해야 한다"며 "의석수로 밀어붙이는 것은 정말 위험천만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홍준표) 원내대표가 200~300개 법안을 처리한다고 하면 대야기조도 바꿔야 한다"면서 "이런 경제상황에서 무슨 수로 공기업을 매각할 수 있으며 여러 부분에서 야당과 대화하며 협력을 구하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앞서 최근 박 전 대표가 정부와 당 지도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방침에 비판적 입장을 밝힌 것을 시작으로 친박근혜계 핵심인 유승민ㆍ김학송 의원이 한미 FTA 비준 신중론을 설파하며 홍 원내대표와 대립각을 세우는 등 당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서는 "그동안 침묵하던 친박근혜계가 결집하기 위한 기지개를 펴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친이명박계 직계인 안국포럼의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친이명박계의 '군기반장'으로 통하는 이재오 전 의원의 귀국설이 나오는 등 친이명박계가 뭉치는 것에 대한 대응의 성격이 짙다는 해석이다. 친이명박계는 그동안 이명박 정부가 이번 정기국회에서 사활을 걸고 추진하고 있는 소위 'MB 법안ㆍ정책' 전반에 걸쳐 친박근혜계가 여당 내 야당 역할을 하는 것 아니냐는 경계의 눈초리를 보여왔다. 친박근혜계의 한 재선의원은 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최근 당론과 배치되는 입장을 보이는 것과 관련, "지금 당권을 목표로 한다거나 주류를 경계하려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다만 당내 핵심세력인 친이명박계가 책임과 권한을 쥐고 있으면서도 일을 똑바로 하지 못해 국민들에게 질타를 받고 야당에 끌려가는 것을 안타까워하기 때문"이라며 정치적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박 전 대표가 그동안의 잠행을 마치고 정치권 중앙으로 기지개를 켜는 모습에 주목하고 있다. 표면적으로 어떤 정치적 결단으로 비쳐지는 것은 아니지만 이전보다 부쩍 잦아진 현안 관련 발언 때문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여권 내부에서는 친박근혜계가 연말을 전후해 정국의 핵으로 떠오를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다. 경제위기 한파로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여권이 총체적 난관을 겪고 있어 가장 '믿을 만한 차기주자'인 박 전 대표에게 기대치가 높이지고 있는 까닭이다. 친이명박계의 한 핵심 관계자는 "앞으로 주요 현안에 대해 친박근혜계 의원들의 개별적인 지적을 비롯해 박 전 대표의 입장 표명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당내 입지확보 차원에서 계속 잠행만 하고 있을 수 없는 상황도 이 같은 분석에 힘을 보태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