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주, 개혁세력 통합 논의 솔솔

정동영 복당은 서두르지 않고 물밑조율 거칠듯

4ㆍ29재보선 후 민주당 내에서는 '반(反) MB(이명박 대통령) 연대' 구축을 위해 민주개혁세력을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30일 제기됐다. 특히 선거 후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정동영(DY) 전 통일부 장관 복당 문제는 정면충돌보다는 당분간 물밑접촉을 통한 조율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당내 비주류 연합체 성격의 민주연대가 당 지도부와 DY 간 중재자 역할을 자임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민주연대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연대는 선거 과정에서 초래한 당내 갈등을 조속히 해결하고 민주개혁진영의 대연합을 통한 이명박 정부 심판과 민주주의 전진의 길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임의 공동대표인 이종걸 의원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정세균 대표가 완승할 수 있었던 기회를 놓쳤기 때문에 조기 전당대회를 정기국회 이전에 열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의원은 이어 "대통합을 위한 전초기지 마련 차원에서 지도부가 그런 생각을 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라며 선거 패배에 따른 지도부 책임을 묻기 위한 전대와는 성격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또 정 전 장관 복당의 경우 서두를 일이 아니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지도부가 복당 불가를 미리 말해서는 안 되며 DY도 공격적으로 나올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민주연대의 이 같은 입장을 전달 받은 정 전 장관 측도 이날 복당 신청서를 내기로 한 계획을 일단 연기했다. 정 전 장관 측 핵심인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복당 신청을 오늘 하기로 했다가 당과 조율을 거쳐서 하는 것이 옳다는 생각에 잠시 보류했다"고 말했다. 이 인사는 또 "당분간 당선 인사에 주력할 것이며 다음주는 돼야 상경 또는 접촉이 있지 않겠냐"고 내다봤다. 하지만 지도부는 "당이 자기 마음대로 들어왔다 나갔다 할 수 있는 조직이냐. 어림없다"는 논리에 따라 아직까지 강경하다. 노영민 대변인은 "탈당한 경우 1년이 지나야 복당이 가능하도록 돼 있는 당헌ㆍ당규에 따라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는 말밖에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