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 노숙자수 환란이후 최다

지난달말 730여명

불황 여파로 거리의 노숙자들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의 경우 노숙자수가 외환위기(IMF)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와 서울시가 응급 보호방 설치 등 노숙자 보호대책 마련에 나섰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10월말 현재 거리 노숙자는 73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41명, 2002년 436명에 비해 급증, 1,000여명에 달했던 지난 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수준을 보이고 있다. 연간 평균치를 보더라도 올해는 10월말까지 621명에 달해 지난해 484명, 2002년 411명, 2001년 389명, 2000년 359명, 1999년 322명에 비해 최대 2배이상 많은 실정이다. 반면 보호시설에 입소한 노숙자 비율은 1999년 91%, 2000년 90%, 2001년 88%, 2002년 86%, 지난해 83%에 비해 올해 78%로 가장 낮은 수치이다. 시는 노숙자 증가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15일부터 내년 2월말까지를 겨울철 노숙인 특별보호기간으로 정하고 서울역, 영등포역, 시청주변, 을지로 등에 자원봉사자와 상담원 105명을 투입해 쉼터입소 안내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순찰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노숙자들이 하루 쉬면서 빨래와 샤워를 할 수 있는 상담보호(Drop In)센터 1곳을 서울역 주변에 추가로 설치하고, 은평구 응암동에 120평 규모로 여성 및 가족노숙자를 위한 시설도 만들 계획이다. 이와함께 노숙자들이 잠시 쉴 수 있도록 응급보호방 4곳을 설치하고, 여성과 가족 노숙자 등 쉼터입소를 거부하는 사람들에게는 쪽방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겨울을 앞두고 전국 시ㆍ도별로 노숙자 집중 상담보호를 실시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집중 상담보호 기간중에 응급 진료활동 활성화, 노숙자 쉼터ㆍ쪽방 안전 점검, 노숙자 개별 면담 등과 함께 노숙자들을 상대로 쉼터나 전문사회복지시설에 입소토록 권유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