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어닝서프라이즈' 불구 주가 급락

LG전자·두산인프라·LG디스플레이등<br>글로벌 경기 둔화 따라 하반기 실적하락 우려도

사상 최고의 성적을 내고도 주가가 급락하는 종목들이 속출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둔화 등에 따라 하반기 실적이 하강 곡선을 그릴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LG전자는 22일 전날에 비해 3.08% 급락한 11만원으로 장을 마쳤다. 증권사들이 LG전자의 전날 ‘깜짝실적’ 발표(2ㆍ4분기 매출 12조7,351억원, 영업이익 8,560억원)에도 불구하고 “어닝 서프라이즈의 정점을 지나 하반기에 실적이 둔화될 것”이라며 잇따라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 데 따른 것이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LG전자의 하반기 이익 모멘텀이 약화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16만5,000원에서 15만2,000원으로 내렸다. 하반기 글로벌 경기 둔화로 휴대폰과 가전 부문의 수익성이 상반기에 비해 떨어질 것이란 게 주된 이유다. 리먼브러더스ㆍNH투자증권ㆍ키움증권ㆍ맥쿼리증권ㆍ굿모닝신한증권 등도 LG전자의 향후 실적을 우려하거나 목표주가를 내렸다. 미래에셋증권은 LG전자가 3ㆍ4분기에도 호실적을 보여줄 것이라며 기존의 목표주가 20만원에 ‘매수’를 유지하고 있다. 역시 전날 사상 최대 실적(2ㆍ4분기 영업이익 전년 동기 대비 95% 성장)을 발표한 두산인프라코어도 이날 주가가 1.39% 하락했다. 상반기 영업이익에 환율효과 등 영업 외 부수적인 부분이 끼어 있어 하반기 실적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관측됐기 때문이다. CJ투자증권은 목표주가를 4만2,000원에서 3만7,500원으로 낮췄고 미래에셋증권은 투자의견 ‘보유’를 그대로 유지했다. 앞서 LG디스플레이도 사상 최대 실적 발표 후 시장으로부터 외면을 당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9일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내놓았으나 당일과 이튿날을 포함해 주가가 10%가량 빠졌다. 박성훈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에서 기업실적이 정점을 지나 하반기에 하락할 것이란 우려감이 높아지면서 실적주들이 대접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며 “그러나 앞으로 장이 단기적으로나마 반등세를 보일 경우에는 이들 종목을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커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