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재생타이어가 서울 도심 누빈다

정품 사용 유도할 마땅한 법적 근거 없어<br>시민 안전위해 법 제도 정비 시급


서울 지역의 시내버스 대부분이 재생타이어를 쓰고 있는 나타났다. 재생타이어는 정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해 버스회사들이 선호하지만 안전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관련 법 제정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를 규제할 마땅한 근거가 없고 정품으로 교체할 경우 막대한 비용까지 들어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 4일 박기열 서울시의회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 받은 ‘서울 시내 버스회사의 정품 및 재생 타이어 사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9월말 현재 기준으로 버스의 뒷바퀴에 재생 타이어를 쓰는 곳은 전체 66개 회사 중 55개에 달했다. 또 서울시내 전체 버스 7,534대 중 495대만 정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품 사용비율은 0.07%에 불과하다. 재생타이어는 일반적으로 정품에 비해 물성(타이어 고유의 성질)이 80% 수준이기 때문에 열과 충격에 상대적으로 약하다. 같은 조건이라면 폭발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 지난 5월 노량진과 6월 신림동에서 발생한 시내버스 타이어 폭발사고는 모두 뒷바퀴에서 발생했다. 박기열 의원은 “타이어 폭발은 대부분 노후한 재생타이어를 쓰는 버스 뒷바퀴 쪽에서 일어난다”면서 “한번 사고가 나면 시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시와 정부가 버스 회사에게 최소한 일정 비율 이상의 정품을 쓰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시내버스의 재생타이어 관리에 온 힘을 쏟고 있지만 관련법이 없고 막대한 비용 때문에 적극적으로 나서기에 힘든 상황이다. 시는 지난 7월 재생타이어의 폭발 사고를 뿌리 뽑기 위해 전체 시내버스 차량 뒷 바퀴 쪽에 방열판과 통풍구를 설치하고 냉각장치를 설치하는 등 종합적인 대책을 내놨다. 재생타이어가 열에 취약한 것을 감안한 조치였다. 시의 관계자는 “타이어 폭발은 재생 타이어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운영 및 관리에 있어 발생하는 것”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 철저하게 예방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의 한 관계자도 “재상타이어라고 해서 반드시 잘 터진다고 할 수는 없다. 다만, 정품과 비교할 때 폭발을 일으키는 여러 요인 중 하나일 순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민의 안전을 고려할 때 시나 정부가 나서서 뒷바퀴에도 정품 타이어를 쓰도록 유도하는 것이 맞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를 위해선 먼저 관련법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현행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44조)에 따르면 시내버스는 앞 바퀴만 재생타이어 사용이 금지됐을 뿐 뒷바퀴에 대한 규정은 따로 없기 때문이다. 버스 회사들 입장에선 값이 절반 수준인 재생타이어에 손이 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이에 대해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재생타이어 파열이 품질 자체의 문제인지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 아직 명확하게 확인 된 바가 없다”면서 “파열 사고 원인에 대해서 기술표준원에서 용역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연구 결과가 나와야 이후 대책을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표준원 연구결과는 이 달 중 나올 예정이며 재생타이어에 대해 기존의 트레드(지면과 닿는 부분)외에 사이드 월(바퀴 휠 맞닿는 부분)의 재활용 횟수를 제한하는 등 자동차안전관리기준을 강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