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멜라민 사태 관련 안전관리 강화키로

"위해우려 수입식품 전수검사"<br>식품업계 CEO들 모임 "中에 검사기관 설치 모색"

정부가 멜라민 사태로 인한 수입식품 우려를 없애고 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으로 ‘위해 우려 수입 식품’ 전수검사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2일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모든 위해 우려 수익 식품에 대한 검사를 추진하고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위해우려 수입식품의 검사비율이 낮다는 지적에 따라 검사 대상을 100%까지 확대해 수입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멜라민 식품회수 정보를 신속히 공개해 소비자가 판매금지 제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및 자치단체 홈페이지에 관련 정보를 제공키로 했다. 또한 멜라민 관련제품을 신속하게 수거하고 중국현지 주문자상표부착(OEM) 업체의 위생점검을 강화하는 한편 사료에 멜라민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유해사료 범위와 기준’ 고시도 개정하기로 했다. 한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국민이 정부를 신뢰할 수 있도록 멜라민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인터넷과 언론에 홍보해야 한다”며 잠재적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수출ㆍ수입국간 상호정보 공유 등의 대책을 지시했다. 한 총리는 특히 “대형식품사고가 발생할 경우 중앙과 지방, 시험기관간 상호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식품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은 모임을 갖고 업계차원의 공동회수, 중국 등에 검사기관 설립 등의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롯데제과, 농심, 매일, 오뚜기 등 주요 식품업체 대표들은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식품공업협회가 주관하는 CEO특별위원회에 참석한 뒤 이 같은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 대표들은 이번 멜라민 파동에 대해 “소비자에게 심려를 끼치게 됨을 자성하면서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들은 또 ▦각 사의 유통망을 활용해 문제된 식품을 공동회수 ▦해외 생산공장에 인력 상주 ▦중국 등에 정부공인민간검사기관 설립을 통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제품의 폐해 최소화 등의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한편 멜라민이 검출된 뉴질랜드산 우유단백질 락토페린을 사용한 분유와 이유식에서는 멜라민이 나오지 않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뉴질랜드 현지에서 멜라민이 검출된 타투아사로부터 수입한 락토페린 원료 9건과 이 원료로 만든 분유와 이유식 등 유제품 46건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남양유업과 파스퇴르에서 수입한 원료 2건에서만 멜라민이 검출됐다고 이날 공식 발표했다. 식약청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부가 실시한 분유 수거검사에서도 멜라민이 검출되지 않았다. 식약청은 이에 따라 풀무원생활건강이 수입한 락토페린 원료에 대해 수거에 나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