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즉각반대 땐 MB정부 중대위기' 문건 공개

국무총리실, 홍보기획사에 의뢰해 지난 6일 작성… '홍보에 기자 활용하라' 조언<br>朴 적극반대 땐 '친박포용' 권고… '원안수용 굴욕→조기 레임덕' 회피 전략인 듯

정부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반응이 세종시 수정안 통과의 성패를 가를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대응책을 검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내용은 한겨레가 13일 입수한 '세종시 현안 홍보전략' 문건에 적혀 있다. 국무총리실이 한 홍보기획사에 의뢰해 지난 6일 작성한 문건이다. 문건은 박 전 대표를 영어 이니셜을 따 'P 팩터'(P Factor)로 지칭하고 있는데, 세종시 수정안의 운명은 박 전 대표가 11일 정부 발표 뒤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박 전 대표가 정부 발표 뒤 즉각 반대 입장을 표명할 경우를 '하드랜딩'(경착륙), 침묵할 경우를 '소프트랜딩'(연착륙), 여론의 추이를 관망하다가 입장을 표명할 경우를 '뉴트럴'(중립적 상황)로 구분했다. 신문에 따르면 문건은 이 중 하드랜딩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예측했다. 문건은 이에 대해 "정부 안 발표 직후 'P 팩터'가 '반대'를 표명하여 여론조사 결과에 직접 개입하는 상황은 현재 여론 추이로 볼 때 '정부안 지지율'의 대폭 하락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밝혔다. 문건은 하드랜딩을 막기 위해 기자를 홍보에 활용하라고도 조언했다. "우호적 논조의 청와대 출입기자 등을 활용해 '특정 정치지도자의 발표 직후 여론개입'이 바람직하지 않음을 지적하는 기자칼럼을 게재"하는 사전 홍보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문건은 박 전 대표가 수정안에 즉각 반대하면 '중대한 위기 상황'이 도래할 것이라고 했다. 신문은 "P 팩터'의 즉각 반대시 충청권 주민들의 상경투쟁과 한나라당의 '분당 위기', 대통령의 리더십 약화 등의 변수가 맞물리며 중대한 위기 상황이 도래"하는데, 그러면 "'P피 팩터'가 심사숙고할 수 있도록 예우를 갖추고 비공개 사전 브리핑을 하는 정무 프로그램을 가동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신문은 문건에서 하드랜딩의 위기 상황에서도 '친박계 총력 비판과 홍보광고 대량 투입' 등의 정면돌파형 고강도 전략보다는 '대통령의 충청 방문과 친박 포용, 대국민 호소' 등 저강도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도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강도 전략이 실패하면 이명박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차선책이 없어 '원안 수용'이라는 굴욕적 상황으로 몰릴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조기 레임덕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여권은 박 전 대표가 지난 12일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한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힌 이후 이 대통령의 충청 방문 등을 검토하면서 박 전 대표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을 삼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