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신흥국 긴축가능성이 경제 위협요인"

재정부, 그린북 발간… "물가불안 대응 강화"


중국 등 신흥국의 긴축 가능성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기됐다. 기획재정부는 8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개선되고 있으나 중동사태와 유럽 재정위기 장기화 소지 등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면서 "특히 신흥국 긴축 가능성은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른 영향을 점검하고 탄력적으로 정책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재정부는 "중국이 곡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총수요 압력 등 인플레이션이 지속되자 기준금리 인상 등 긴축정책을 강화하고 있다"며 "리비아 사태 등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중국의 추가긴축 가능성 등 소비심리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재정부는 지난달 경제동향을 통해 신흥국 인플레이션을 대외경제 위험요인으로 지적했으나 이번달에 '신흥국 인플레이션'을 빼고 대신 '신흥국 긴축 가능성'을 지적했다. 정부는 아울러 최근 물가상승으로 사회 전반에 인플레이션 심리가 확산되지 않도록 시장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물가불안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재정부는 "우리 경제에 경기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한파와 구제역ㆍ유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물가가 크게 올랐다"면서 "인플레이션 심리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민간소비와 관련해서는 "가계의 소비여건 개선 등으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만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소비자 심리지수가 하락하고 있어 소비 증가세는 다소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