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국내 물류기업 64% "對日 수출입 1년내 정상화될것"

商議 '日지진 영향' 조사<br>"직접적 피해 없다" 69%

국내 물류업계는 대지진과 원전사고를 당한 일본 관련 수출입 물류가 1년 내에는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일본과 거래하고 있는 국내 110개 물류전문기업을 대상으로 '동일본 지진에 따른 수출입 물류 환경변화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64.6%가 '일본 수출입 물류 정상화 소요기간'으로 '1년 미만'을 꼽았다고 24일 밝혔다. 다음으로 '1~3년(29.1%)' '3~5년(3.6%)' '5년 이상(2.7%)'순이었다. '일본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69.1%의 기업이 '직접적 피해는 없었다'고 답했다. 직간접적 피해로는 '컨테이너 유실(4.5%)' '건물파괴(1.8%)' '화물연착(11.8%)' '물량감소(6.3%)' '사무기기 파손(0.9%)' 등이 집계됐다. 대한상의는 "조사 대상 기업 중 일본에 법인이나 지사ㆍ대리점 등을 두고 있는 경우 대부분(90%)이 도쿄ㆍ요코하마 등 관동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면서 "6.7%의 기업만이 지진피해가 집중된 센다이 등 동북지역에 지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지진의 직접적인 피해를 면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일본 대지진과 원전사고가 향후 동북아 물류환경 변화에 미칠 영향에 대해 물은 결과 응답기업의 65.5%가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향후 가장 우려되는 피해로는 '대일 수출입 물동량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47.3%)'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육운ㆍ해운ㆍ항공 등 고객화물 연착(33.6%)' '물류경로 변경에 따른 물류비용 증가(18.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