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뉴욕상업거래소는 '투기꾼 판'

WTI 거래량 70% 장악… 8년새 2배 '껑충'<br>"규제 강화해야" 美의회 反투기법 제정 추진<br>"영향 미미" 반론도 만만찮아 입법 진통 예상



미국 석유 선물시장의 70% 정도를 투기세력들이 장악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의회내에서 정부의 감독과 규제가 한층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반투기법 제정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그러나 유가 상승이 선물시장에서의 투기 거래에 의한 것만이 아니라는 반론도 만만챦아 최종 입법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24일 미 하원 에너지상업위원회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되는 서부텍사스중질유(WTI) 거래량의 71%에 투기세력이 관여하고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이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00년 투기세력의 거래 비중은 37%에 불과했으나 최근 8년간 두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유 선물시장에서 투기세력들에 의해 정유업체나 항공사 등 연료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을 헤지할 필요가 있는 실거래업자들이 크게 밀려나고 있다는 반증이다. 미국 의회는 석유시장의 투기 세력들이 주로 헤지펀드, 투자은행 등이라 판단하고 최근 이들의 석유 거래를 제한하는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빠르면 미 하원은 다음주중 석유 선물거래의 투기를 엄격하게 제한하는 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존 딘젤 하원 에너지상업위원회 위원장은 “에너지 거래에 대한 투기가 주요 성장산업이 될 정도로 극성이다”면서 “이제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개최된 의회 청문회에서 원유 선물시장의 투기를 제한하면 휘발유 가격이 미국내 적정 가격인 갤런당 2달러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란 주장이 나왔다. 마스터스캐피털매니지먼트 대표인 마이클 마스터스는 “정부가 제도적으로 투기 세력을 막는다면 원유 선물 가격은 현재 135달러의 절반 수준인 배럴당 65~75달러, 한계 생산원가 수준으로 급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펜하이머 애널리스트인 페이델 게이트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유가는 투기에 의한 것이며 시장의 펀더멘털로는 설명되지 않는다”며 “수급 펀더멘털에 따르면 유가는 배럴당 60달러 선까지 하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에너지증권분석사의 에드워드 크라펠스 애널리스트도 “펀드매니저들이 현재의 선물 매수포지션을 곧바로 청산한다면 유가가 적정 수준으로 떨어지는데 채 30일도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챦아 최종 입법을 낙관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다. 미국 텍사스 석유재벌 출신의 부시가 이끄는 미국 행정부와 월가 은행들, 심지어 연방 감시기구까지 투기세력이 최근 고유가에 미친 영향은 극히 일부분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청문회가 끝난 후 CFTC의 루켄 회장은 “의회에 의해 투기세력으로 분류된 71%에는 스왑거래자들, 대형 은행들이 포함되는 데 이들이 모두 투기거래자는 아니다”라며 “유나이티드항공의 의뢰로 선물시장에 관여하는 모건스탠리 등은 오히려 시장 거래의 활성화에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또 런던 인터컨티넨털익스체인지(ICE)의 밥 레이드 소장도 “선물거래가 유가 상승의 주된 요인은 아니다”라며 “유가 상승은 가격조작이나 투기가 아니라 대부분 수급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