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포스코 후판 110만톤 증산

2009년까지 900억 투자 총 생산량 470만톤으로<br>타업체들도 추가 생산 계획…경쟁 가열될듯

포스코 후판 110만톤 증산 2009년까지 900억 투자 총 생산량 470만톤으로타업체들도 추가 생산 계획…경쟁 가열될듯 김상용 기자 kimi@sed.co.kr 포스코가 오는 2009년까지 900억원을 투자해 후판 생산량을 110만톤 늘린다. 이에 따라 만성적인 공급부족으로 시달려온 국내 후판시장에 숨통이 틔는 것은 물론 조선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도 커다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는 5일 급증하는 국내 후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360만톤 수준의 후판 생산량을 2009년까지 470만톤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 같은 생산량 증가를 위해 후판 가속냉각설비의 교체와 3후판 공장의 강력 냉각 교정기 설치 등 설비보완에 900억원을 투자하고 연속 압연기술을 통해 TMCP강의 생산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각 생산라인별로는 포항의 제1후판 공장이 60만톤에서 67만톤으로 증가하고 2후판 공장과 3후판 공장은 각각 210만톤과 90만톤에서 258만톤과 145만톤으로 늘어나게 된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올해 국내 조선산업이 필요한 후판의 규모는 600만톤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현재 국내 조선용 후판 생산능력은 400만톤에 불과해 200만톤가량의 수입이 불가피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포스코의 이번 증산 결정과 함께 현대제철ㆍ동국제강 등도 후판 설비를 추가적으로 도입할 계획인 만큼 국내 철강업계는 고부가강으로 꼽히는 후판 등에 대한 수출여력도 확보할 전망이다. 동국제강의 경우 2009년께 충남 당진에 연산 150만톤 규모의 후판 생산라인을 신설해 총 생산량이 410만톤에 달하고 현대제철 역시 2010년께 200만톤의 후판을 생산할 예정이다. 철강업계의 한 관계자는 "200만톤 규모의 수입 조선용 후판시장을 놓고 포스코와 동국제강ㆍ현대제철 등이 잇따라 추가 생산이나 증산을 계획하고 있다"며 "국내 후판시장에 공급량이 수요량을 웃돌아 국내에서 생산된 후판이 해외로 수출되는 현상도 일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입력시간 : 2006/07/05 16:4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