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집값 급등은 공급이 수요 못따른 탓"

"공급이 수요 못따른 탓…집값 상승은 우려"<br>내년 한국경제 4.3% 성장 전망


"집값 급등은 공급이 수요 못따른 탓" IMF "거품 아니지만 우려"…정부와 시각차내년 한국경제 4.3% 성장 전망 이재철 기자 humming@sed.co.kr 관련기사 • 부동산 유입되는 돈물꼬 조일 필요도 • "한국, 고령화관련 재정 지출 대비를" 제럴드 시프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담당 부국장은 10일 한국의 부동산 가격 급등과 관련해 "주택가격 상승에는 실제적 이유가 있는데 수요는 높아지고 있는 반면 공급은 수요에 따라 늘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시프 부국장은 이날 정부 과천청사에서 가진 한국정부와의 정례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저금리 때문에 부동산 거품이 있다는 시각에 대한 견해를 묻자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주택가격 상승이 확실히 우려할 만한 상황이지만 (우리는) 현재 부동산시장에 거품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때문에 부동산 가격 상승은 금리정책과는 상관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는 최근의 부동산시장에 비정상적인 가격흐름이 존재하고 있다는 우리 정부의 시각과는 달라 논란이 예상된다. 그는 또 부동산 대책과 관련, "은행이 주택담보대출을 해주는 데 조심스럽게 해야 한다"며 대출 규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그는 이어 금리수준에 대해 언급하면서 "전반적인 거시경제 상황을 봤을 때 금리 수준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라는 견해를 밝히고 환율에 대해서는 "원ㆍ달러 환율과 원ㆍ엔 환율이 한국의 경제수준과 많이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IMF는 이날 내놓은 정례협의 결과 자료에서 "한국 경제가 올해 5% 성장하고 내년에는 4.3%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예상했다. 그러나 IMF는 미국의 경기후퇴가 예상보다 커질 가능성, 한반도의 정치지정학적 상황에 따른 기업과 소비심리 영향, 유가의 급격한 상승 가능성 등 위험요인에 한국 경제가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또 경상수지는 전체적으로 올해와 내년에 걸쳐 약간의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하고 소비자물가 인플레이션은 현재 2%를 넘는 선에서 약간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나 전체적인 물가 압력은 내년에도 적당선을 유지할 것으로 IMF는 내다봤다. 입력시간 : 2006/11/10 16:5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