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 역사적 개통

화면으로 그리운 얼굴.목소리 듣고 아쉬움 달래<br>한완상 "60년간 냉전상태에서 우리는 깨어났다"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 역사적 개통 화면으로 그리운 얼굴.목소리 듣고 아쉬움 달래한완상 "60년간 냉전상태에서 우리는 깨어났다" 남북이 광복 60주년을 맞아 15일 이산가족 화상상봉 시스템을 공식 개통, 양측 이산 40가족이 화상상봉에 들어갔다. 남측 대한적십자사(한적)와 북측 조선적십자회는 이날 오전 7시40분께 서울 한적 본사와 평양을 잇는 화상상봉 시스템을 공식 개통했다. 한완상 한적 총재와 장재언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장은 개통과 동시에 화상 대화를 갖고 화상상봉을 기념하고 상봉기회를 늘려 나가기를 희망했다. 한 총재는 이날 메시지를 통해 "지난 60년간 우리 민족은 분단의 고통을 겪어왔으며 분단 60년의 세월은 남북으로 흩어진 1천만 이산가족들에게는 실로 참담하고 인내하기 어려운 쓰라린 고통의 나날이었다"면서 "매년 4천∼5천명의 이산가족들이 유명을 달리하는 상황을 고려해 이산가족 화상상봉은 획기적인 인도주의 방안"이라고 평가했다. 광복 60주년을 맞아 15일 남산 대한적십자사에서 최초로 열린 이산가족 화상상봉에서 북측의 딸들이 남측의 노모 김매녀(98)씨를 보고 오열하고 있다./서울=연합 그는 "화상 상봉을 통해 60년간 단절돼 온 남북간의 통신이 이어짐으로써 '60년간의 냉전 상태'에서 비로소 우리는 깨어났으며 이는 민족적 경사"라고 말하고 "화상상봉이 남북사이에 각종 통신, 대화, 회담 등에 유용히 사용될 수 있는 우리 민족의 '평화의 회로'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장 위원장은 "이 감격적인 화면을 지켜보고 계시는 남녘의 흩어진 가족, 친척들과 동포여러분에게 북녘 인민들의 혈육의 정을 담아 뜨거운 동포애적 인사를 보낸다"며 "민족분렬사에 처음 갖게된 화상상봉은 우리 민족끼리 힘을 합쳐 6.15 시대와 정보산업시대에 맞게 북남사이의 인도적 문제해결의 새로운 길을 열어 놓은 또 하나의 사변"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력사적인 6.15 공동선언의 기치에 따라 온 겨레가 힘을 합쳐 우리 민족 자신의 힘으로 북과 남의 가족, 친척들이 함께 모여 살 조국통일의 그날을 앞당기자"고 촉구한 뒤 "화상상봉이 우리 민족끼리의 리념에 따라 더 큰 하나로 되어가는 민족의 참모습을 힘있게 시위하는 뜻깊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어 남과 북의 40가족은 이날 서울 중구 남산동 대한적십자사(한적) 본사의 5개 상봉장 및 부산, 수원, 대전, 인천, 대구, 광주 등 한적 지사의 6개 상봉장 등 남측 11개 상봉장과 북측 평양의 상봉장을 화면으로 연결, 차례로 상봉에 들어갔다. 이날 화상으로 상봉한 남과 북의 부모.형제.자매들은 아쉬우나마 화면을 향해서 "어머니" "얘들아" 등을 소리쳐 부르며 눈물을 흘리는 등 반세기가 넘는 이산의 한을 달랬으나, 일부 가족들 사이에서는 남과 북의 제도와 생활수준 문제를 놓고 잠시 자기 체제의 우위를 `선전'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안타까움을 자아내기도 했다. 이날 첫 화상상봉에 앞서 장 위원장의 메시지로 시작된 축하 메시지 교환은 통신 상태 불량으로 약 3-4분 중단되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입력시간 : 2005/08/15 09:19 • "어머니 눈좀 떠보시라요…" • 鄭통일 "연중 화상상봉 추진"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