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 체세포 복제소 대부분 가짜

유전자검사 결과, 39마리중 6마리만 `진짜'정부의 지원을 받아 국내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고된 '체세포 복제송아지'의 대부분이 가짜인 것으로 밝혀졌다.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는 지난 2000년 6월이후 농가에서 체세포복제 수정란을 이식해 태어난 39마리의 복제소를 대상으로 지난해 10월부터 최근까지 유전자검사를 실시한 결과, 6마리만이 진짜 복제소인 것으로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축산기술연구소는 이에 앞선 지난해 9월 국정감사때 전국에서 소 838마리(축산연 278마리, 서울대 560마리)를 대상으로 체세포복제 수정란 이식을 통해 77마리가 임신해 62마리가 분만했고 최종적으로 39마리가 탄생했다고 보고했었다. 유전자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 가운데 불과 6마리(축산연구소 보유 4마리, 농가보유 2마리)만이 체세포 복제소로 확인됐다. 이는 그 동안 국내 실험실 작업에서 체세포 복제소의 수태율이 10~15%라고 알려진 것과는 큰 차이가 난다. 축산연구소는 이처럼 가짜 복제소가 많은 것은 수정란 이식작업을 맡은 인공수정사나 수의사들이 임신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인공수정과 복제수정란 이식을 이중으로 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뤄진 복제소의 수태율과 분만율, 생존율 등의 연구결과는 신뢰성이 떨어져 국제 위신 실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김경남 축산기술연구소장은 "실험실 기술과 현장 적용능력간에 큰 차이가 있었던데다 인력부족으로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이런 일이 발생했다"면서도 "농가 보급은 당분간 중단하되 수태율을 30~40%로 높이고 체세포 복제소의 안전성 여부를 규명하는 실험실내 작업은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농림부는 지난 2000년 가축개량 사업의 하나로 '체세포 복제기술에 의한 형질전환 가축생산'을 15개 첨단 기술개발 과제 가운데 하나로 선정, 복제소 보급을 적극 추진해 왔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