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호제지 경영권분쟁 국일제지 승리로 끝날까

신호제지 임시주총이 20일로 다가오면서 8개월을 끌어온 경영권 분쟁이 국일제지 승리로 끝날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호제지 경영권 향방은 이번 주총서 김종곤 신호제지 대표이사 해임안이 통과되느냐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신호제지의 적대세력인 국일제지는 20일 경기도 오산공장에서 신호제지 임시주총을 개최한다. 이날 주총의 안건은 김종곤 신호제지 대표이사 등 이사 2명과 감사 1명 해임건, 이사 1명과 감사 1명 추가 선임건 등이다. 신호제지 1대주주인 국일제지는 지난해 12월 임시주총을 통해 자사가 추천한 6명의 후보를 모두 이사로 선임하면서 신호제지 경영권을 확보했다. 그러나 법원이 대표이사의 청약절차가 없었다는 이유로 선임된 이사들의 직무집행을 정지시키면서 국일제지는 아직까지 경영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국일제지는 이날 주총을 통해 김 대표이사를 해임한 후 새 대표이사를 선임, 청약절차를 통해 지난해말 주총서 선임된 이사들의 직무정지를 해제한다는 방침이다. 주총 안건이 원안대로 전부 통과되면 국일제지는 총 11명의 이사 가운데 10명을자사가 추천한 인사로 채우게 돼 신호제지 경영권 인수를 완료하게 된다. 국일제지는 자사 지분(22.5%)을 포함, 아람FSI(12.03%), 신한은행(11.76%), 피난사인베스트먼트(8.71%) 등 총 56.02%의 우호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주총서 유리한 입장이다. 국일제지 관계자는 "지난해 열린 임시주총서 참석주주의 69%가 우리 안건에 찬성한만큼 이번 주총에서도 신호제지 경영권을 확실히 인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호제지의 우호세력인 신안그룹이 20.99%의 지분을 갖고 있어 김 대표이사 해임안이 통과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해임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참석주주(과반수 이상 참석 전제)의 ⅔이상의 찬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일제지는 현재 수원지법에 김종곤 신호제지의 대표이사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과 이사 임용 계약 청약 가처분 신청을 각각 제기한 상태기 때문에 이 경우 경영권 향방은 법원서 결론나게 된다. 두 가처분 신청 가운데 하나라도 인용되면 국일제지는 경영권을 인수하게 된다. 국일제지 관계자는 "전번 심리에서 주총의 정당성이 인정된 만큼 법원서 가처분을 인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일제지가 신호제지 경영진과 이면합의를 했다는 지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경영권 분쟁 장기화로 인한 실적 악화를 우려해 국일제지가 신호제지 경영진과 회사를 공동경영키로 이면합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