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 섬유업계 日수출 적신호

국내 섬유업계 日수출 적신호 일본 섬유업계가 국내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반덤핑 제소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대일 섬유류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13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후쿠오카 무역관에 따르면 도레이, 데이진 등 일본 주요 섬유 메이커로 구성된 일본화학섬유협회는 저가 화섬제품 수입급증에 대응해 한국을 비롯한 중국, 대만의 수출기업을 상대로 고율의 관세를 적용하는 반덤핑(부당염매)관세 부과 발동을 이달 중 정부에 신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정부가 저가 수입 화섬류에 대한 대응책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는 상태여서 통산성 조사를 거쳐 내년 중에 상당히 높은 반덤핑 관세 부과 조치가 내려질 확률이 높다. 반덤핑 조치 대상으로는 의류나 인테리어 용품에 폭넓게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섬유다. 특히 일본 폴리에스터 섬유시장에서 수입제품의 비중이 지난해 54%로 절반을 넘어선 뒤 그 기세가 수그러들지 않은 것이 반덤핑 제소의 이유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일본 섬유류 수입시장 점유율은 95년 9.2%에서 올 상반기 6.1%로 축소된 상태에다 반덤핑제소까지 받을 경우 타격이 클 전망이다. 올해 폴리에스터 섬유 수출은 약 8,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잇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관계자는 "이번 조치의 타깃은 점유율 60% 이상의 중국산 저가 상품으로 보이지만 국내 수출업계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며 "그러나 다른 분야에서 엄청난 무역흑자를 내고 있는 일본이 실제 제재조치를 취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최인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