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환부 제거 대외신인도 제고

■ 대우車 매각 타결 의미와 향후과제대우자동차 매각 협상을 진두지휘한 정건용 산업은행 총재는 21일 GM과의 MOU(양해각서) 체결 직전 청와대로부터 "진정으로 감사한다"는 전화를 받았다. 대우차 매각성사는 침체 일로인 거시경제 상황에서 구조조정의 큰 산맥을 넘고, 경제 주체들의 뼈 속에 짓눌린 고름덩어리를 제거했다는 국가적 차원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우리 경제의 대외신인도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지난해 악몽(포드로의 매각실패)은 아직도 잔존한다. 본계약 체결때까지 노조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협상은 원점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일부에서 제기되는 '헐값 논쟁'은 본계약 체결 후에 벌여도 늦지 않다는게 경제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 제대로 팔았나 지난해 8월 대우차를 사겠다던 포드는 당시 70억달러(7조7,000억원)를 제시했다. 부채 인수분 등을 감안하면 실제 가격은 40억달러 정도였지만, 이에 비하면 이번 인수가격은 분명 형편없는 매각 가격이다. 외형상 매각 가격은 20억3,400만달러지만, 인수방식으로 선택된 주식(우선주)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실제는 16억7,800만달러다. 특히 GM이 실제로 현금을 투입하는 것은 4억달러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조리 빚으로 떼웠다. 결국 대우차가 잘못되면 채권은행은 14억달러(우선주 12억달러+신설법인 출자 2억달러)를 모조리 날려야 하지만, GM은 4억달러만 털면 된다. 채권단은 특히 신설법인이 상장하려면 앞으로 3~4년이 걸리기 때문에 그 이전엔 손에 들어오는게 거의 없다. 하지만 대우차의 실제 가치를 들여다보면 그리 싸게 판 것도 아니다. 지난해 컨설팅회사인 아서앤더슨이 대우차를 실사한 결과를 보면 존속가치는 불과 19억달러에 불과했다. 매각가격이 현재가치 기준으로 16억7,800만달러이니, '얼추는 받은 셈'(산은 정총재)이다. ■ 본계약 체결때까지 남은 것 본계약 체결은 12월께로 예정돼 있다. 양측이 교환한 MOU 내용, 특히 노조문제를 보면 본계약 체결때까지의 과정이 매우 험난할 것임을 예고한다. 우선 첫째 과제가 노조 설득이다. 정 총재는 "노조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본계약 체결은 불가능하다"고 거듭 우려를 표시했다. 현행 임단협 조항상의 ▲ 5년간 고용보장 ▲ 합병 등의 회사진로 결정때 노조의 사전 동의 등의 조항을 모조리 없애야 한다. 이는 위탁경영 대상인 부평공장 뿐 아니라 군산ㆍ창원공장에도 해당된다. '빚청산 작업'도 복잡 다단하다. 대우차는 자산을 GM에 파는 대가로 12억달러 규모의 우선주를 지급받아, 다시 채권단에 현재가치보다 낮은 가격으로 채권단에 넘기기로 했다. 채권단은 채권비율대로 이를 배분한다. 이밖에도 공익채권(상거래채권)과 우선변제권을 지닌 채권 등 당분간 채권 금융기관간에 '하이애나식 쟁탈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대우차 성패 여부는 앞으로 5년뒤 채권단과 GM이 새로 만드는 뉴 컴퍼니(신설법인)는 본계약을 체결한뒤 4~5개월후 태동한다. 신설법인은 GM이 자산을 인수해 만드는 가칭 'GM-대우차(가칭)'와 부평공장의 제조공장(라노스ㆍ메그너스ㆍ레간자)이 새로 태어나는 신설법인 등 두개다. 이들의 성공여부는 앞으로 4~5년후 결판날 것이라는게 채권단과 자동차 업계의 판단이다. GM은 대우차를 인수해 동남아 전초기지로 삼으려 한다. 당분간 대우차의 브랜드를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 관계자는 "신설법인을 만든 첫해부터 큰 이익을 낼 것으로는 기대하지 않는다"며 "앞으로 4~5년후가 튼실한 회사로 변모할 수 있을 것인지를 판단할 기준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평공장도 마찬가지다. GM은 6년안에 노사관계와 경쟁력 측면을 본 뒤 인수를 결정한다. 이번에 GM으로 넘어가지 않은 해외법인과 국내 공장들을 묶어 운영될 올드 컴퍼니(기존 공장) 정리 작업도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폴란드 FSO공장 등은 국가 문제로까지 비화할 수 있다. 해외 생산법인 대부분이 청산되면 현지 고용문제 등이 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이를 무마하기 위해 이번 인수 대상에서 제외된 일부 법인에 대해서는 신설법인이 부품 공급 및 기술지원을 계속할 계획이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