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일제 때 친일파 소유 토지 당시 서울면적 13배

일제강점기에 주요 친일파 인사가 보유했던 땅이 당시 경성(京城ㆍ서울의 옛 지명) 면적의 13배 가량인 1억3,000여 평에 달했던 것으로 추산됐다. 지금까지 친일파의 개인별 토지 보유면적이 발표된 적은 있지만 이들이 갖고 있던 토지의 전체 규모가 구체적으로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미래정책연구원 홍경선 연구원이 3일 내놓은 박사학위(인하대 행정학과) 논문 ‘일제시대 토지의 국가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이완용 등 매국형 친일파 10명과 조선귀족회, 중추원의 친일파 31명등이 보유한 토지는 1억3,484만평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927년 기준 경성 면적(1,063만평)의 13배, 현재 한반도 전체 면적의 0.2%에 달하는 규모다. 인물별로는 매국형 친일파 송병준이 2,240만여평, 박영효가 1,709만여평, 이완용이 1,370만 여 평을 보유했으며, 중추원 귀족 중에서는 김갑순이 1,001만여 평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홍 연구원은 “지난 해 11월까지 친일파 후손들은 27건의 토지환수 소송을 내 이 가운데 48%인 13건에서 승소했다”며 “친일파 재산으로 의심되는 주인 없는 부동산의 국유화와 친일후손 토지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친일파 후손이 땅을 되찾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