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기업 10곳중 4곳 “5년안에 국내공장 폐쇄”

국내기업 10곳 가운데 4곳은 앞으로 5년안에 국내공장을 폐쇄ㆍ축소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력제품을 해외법인으로 이전할 계획이라는 기업이 절반이 넘는 54.9%로 나타나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더구나 참여정부가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구호와는 달리 최근 벌어지고 잇는 비자금수사를 비롯해 원전수거물, 이라크추가파병 등을 놓고 벌어지는 국론분열 등 정치ㆍ경제ㆍ사회 전반이 총체적 난국을 띠고 있어 기업들의 `탈(脫)한국 `현상은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6일 산업자원부가 526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해외 제조업 투자실상 및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앞으로 5년내 국내공장을 축소 또는 폐쇄하겠다는 기업이 전체의 41.8%에 달했다. 33.7%는 축소, 8.1%는 폐쇄하겠다고 응답했다. 업종별로는 신발가죽 및 섬유의복 업종에서 폐쇄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전자통신업도 축소ㆍ폐쇄비율이 46.8%를 차지했다. 국내를 떠나 해외로 공장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들이 그동안 노동집약업종 위주에서 기술ㆍ자본집약업종, 첨단업종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의미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로 나가는 첫째 이유는 고임금 등 인건비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서 해외투자를 하는 사유에 대한 질문에 절반에 가까운 48.8%가 인건비 등 비용절감을 꼽았다. 다음으로 현지시장 개척(34.1%)을 들었고, 협력업체 해외이전(8.2%), 인력난(5.9%) 등의 순이었다. 값싼 노동력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찾아 해외로 짐을 싸서 떠난다는 것이다. 최준영 산자부 산업정책국장은 “산업공동화에 대비해 중소ㆍ벤처기업 창업활성화, 외국인 투자 적극유치, 산업구조 고도화와 부가가치화 실현, 서비스산업 발전기반 조성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업들의 탈한국 러시를 막기 위해서는 규제완화를 조속히 실행하고 경제를 생각하는 정치환경 조성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임석훈기자 shim@sed.co.kr>

관련기사



임석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