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업종간 성장격차 더 커진다

ITㆍBT 지속확장-유화ㆍ섬유 지속수축오는 2010년까지 반도체.통신기기 등 IT(정보기술)업종은 성장을 지속하는 반면 석유화학ㆍ섬유 등 기존 전통업종은 성장세가 둔화돼 업종간 성장격차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은행은 25일 펴낸 국내 주요 산업의 경쟁력 실태와 산업구조 변화, 발전전략을 분석한 '한국의 산업보고서'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중 반도체ㆍ통신기기ㆍ디지털가전 등 IT분야와 환경ㆍ항공우주ㆍ바이오ㆍ정밀화학 등 신기술분야는 '지속성장형' 산업으로 ▦신기술개발ㆍ기술접목 가속화 신상품 등장 ▦대기업 투자와 벤처창업 확대 등에 힘입어 2010년까지 국내산업 전반의 성장세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일반기계ㆍ자동차부품을 축으로 한 부품ㆍ소재산업도 업계의 지속적인 투자로 생산비중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또 컴퓨터ㆍ사무용기기ㆍ자동차ㆍ조선ㆍ전통가전 업종은 '성숙후 수축형'산업으로 제품경쟁력과 브랜드 이미지로 당분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지만 후발경쟁국의 추격과 세계시장의 성장둔화, 대기업 진출 부진으로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석유화학ㆍ철강ㆍ제지ㆍ시멘트ㆍ섬유ㆍ의류ㆍ신발ㆍ피혁ㆍ플라스틱 등 전통업종은 '지속수축형'으로 ▦과잉투자에 따른 수익성 악화 ▦후발경쟁국의 빠른 추격 ▦저부가가치형 수익창출구조 ▦원천기술한계로 성장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10대 주요산업의 경쟁력을 시장지배력, 가격ㆍ비가격 경쟁력, 후발경쟁국추격속도로 종합평가한 결과 조선ㆍ반도체ㆍ자동차는 매우 양호해 경쟁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통신기기ㆍ가전ㆍ컴퓨터는 현재로서는 경쟁력이 우수하지만 후발경쟁국의 추격 가능성으로 경쟁력 유지가 가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석유화학ㆍ섬유ㆍ일반기계는 원천기술이 취약한데다 후발경쟁국의 추격으로 경쟁력이 약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경쟁력 순위는 조선, 반도체, 자동차, 통신기기, 가전, 컴퓨터, 철강, 석유화학, 섬유, 일반기계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앞으로 제조업은 성숙단계진입에 따른 신규투자둔화로 국내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줄어드는 반면 서비스업은 신유통과 e-비즈니스 등의 신사업 대두로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국내 산업발전 전략으로 아직까지 산업비중이 높은 전통주력산업은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구조고도화에 초점을 맞추되 IT, BT(생명공학), NT(나노산업)등 신산업을 '선택과 집중' 원리에 따라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최윤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