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기 1,000만시대] 동북아중심 도약 위해 ‘광역행정’ 시급

지난 20일 경기도의 공식 주민등록인구가 1,000만명을 넘었다. 정확한 숫자는 1,000만1,334명. 인구 1,000만명이라는 것은 단순한 숫자적 의미를 넘어 진정한 광역행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가 있다. 특히 그 동안 `수도권`이라는 말로 통칭돼 온 경기도의 위상변화는 일층 가속화 될 전망이다. 경기도 인구 1,000만명 시대와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독립 발전을 모색하고 경기도의 희망과 과제를 점검해 본다. 경기도에 위치한 수원시는 이미 광역시의 최소 조건인 인구 100만 명을 돌파했고 성남시(94만6,000명), 고양시(84만명), 부천시(82만1,000명), 안산시(63만7,000명) 등도 제주도 전체 인구를 상회하고 있다. 경기도의 예산역시 8조원을 훌쩍 넘어서 서울시와 차이를 보이지않는 가운데 다른 시ㆍ도와는 2배 이상의 겨차가 벌어져 있는 상황이다. 2만개를 넘어선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생산시설이 밀집해 있고, 금융 및 산업 인프라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 여서 이제는 `경기도의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이라는 말이 자연스러울 정도이다. 분당과 일산, 평촌, 중동, 산본 등 5개 신도시는 국내 건설사들이 대단위 집적단지의 모델로 삼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여기에다 용인, 화성, 남양주, 김포 등지는 여전히 주택단지로서 인기가 높고 올해부터 본격 개발될 성남 판교지역은 `대한민국의 마지막 노른자위`로 불릴 만큼 국민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판교는 주택단지와 함께 20만평 이상이 벤처단지로 조성될 예정이어서 서울과 경기도를 잇는 경부 축이 진정한 실리콘 밸리로 개발되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인권 경기도 건설교통국장은 “수 십 년간 경기도가 정부 정책에 따라 서울시민의 잠자리를 제공하는 피동적 역할을 해왔으나 이제는 경기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정책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판교개발과정은 물론 각종 교통ㆍ환경 정책에서 나타나듯 경기도의 막강한 자금과 인프라 결합되면 산업경쟁력과 함께 삶의 질도 국내 최고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말은 하지 않지만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또 다른 꿈을 꾸고 있다. 그것은 `경기도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가 특별법으로 보호 받아 예산과 인사, 정책결정에서 중앙정부에 버금가는 자치권을 행사하는 반면 경기도는 인구와 물량, 그리고 국가적 역할에서 서울시에 버금가면서도 행정적으로 제주도 수준으로 제약을 받고 있어 동북아중심을 꾀하는 경기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김진호기자 tigerk@sed.co.kr>

관련기사



김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