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태양추적장치 원천기술 (주)솔덕, 장극덕 사장

"국내 태양광발전설비 강풍에 약하고 저효율"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광발전소 건설 붐이 일고 있지만 태풍에 너무 취약하고 효율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경북 구미에서 태양광발전 전지판(모듈)을 지지하는 기둥ㆍ서까래 역할을 하는 태양추적장치 구조물에 대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솔텍 장긍덕(50ㆍ사진) 사장이 잇따르고 있는 태양광발전소 건립에 대해 경고등을 켰다. “태양광발전소 건립이 시작된 최근 몇 년 동안은 우리나라에 태풍이 없었기 때문에 피해가 발생치 않아 위험성이 간과되고 있습니다. 태풍에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이 만들어지지 않아 강풍이 불면 주변에까지 많은 피해를 낳을 겁니다.” 장 사장은 또 “국내에 조성된 대부분의 태양광발전소들은 고정식이거나 한 방향으로만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구조물이어서 발전시간이 하루평균 3.3시간밖에 안돼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태양광발전 전지판은 수직으로 빛을 받아야 발전효율이 높은데 비스듬한 각도로 받을 경우 발전량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것이다. 장 사장은 특히 “현재 태양광 발전소가 건립 지역이 호남이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지만 입지적으로 타당치 않다”며 “호남 지역은 온도가 높고 황사가 많은데다 철새 이동이 많아 조류의 배설물이 전지판을 오염시키는 빈도가 높아 타당한 지역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발전적정 온도는 전지판 표면이 섭씨 25도일 때 가장 효율이 높지만 이들 지역은 온도가 너무 높을 뿐 아니라, 오염된 전지판 세척에도 구조상으로 쉽지 않아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관련업무를 맡고있는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구조물에 대한 안전도 기준이 없어 설치업체에서 알아서 할 일”이라며 이와 관련된 안전도 기준 설정의 필요성에 대해 인정했다. 또 “먼지나 조류분비물로 인한 오염문제는 수시로 내리는 비가 해결하겠지만 강우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은 세척을 해야 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한편 현재 국내에는 1조원어치의 설비가 가동되고 있으며 설치 허가된 용량이 금액으로 6조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