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EU 통상분쟁 갈수록 격화

EU, 반덤핑 관세 부과에 中선 불매운동 대응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의 달라이라마 접견방침으로 촉발된 중국과 유럽연합(EU)간 갈등이 '통상분쟁'으로 증폭되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오는 6일 사르코지와 달라이라마간의 회동을 앞두고 거센 반(反) 프랑스 운동이 펼쳐지고 있다. 5일 중국 신경보(新京報)에 따르면 중국 탄소강 잠금장치업 협회는 전날 중국이 EU에 수출하는 관련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조치가 내려진 것과 관련, 중국 상무부에 정밀조사를 해 줄 것을 요청하며 EU를 제소했다. 이에 따라 상무부는 올해 안에 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응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앞서 EU는 3일(현지시간) 중국산 탄소강 잠금장치에 최고 87%의 반덤핑관세를 물리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중국에 대한 보복성 '반격'으로 받아들여졌다. 중국은 이번 EU의 반덤핑관세 부과 조치로 앞으로 매년 4억유로의 손실이 발생하고 관련산업 종사자 80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중국과 EU는 지난달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달라이 라마를 만나기로 결정한 이후, 이처럼 서로 보복의 수위를 높여가며 무역분쟁의 전선을 확대시키고 있다. 중국은 사르코지와 달라이라마의 회동에 대한 반발로 당초 지난 1일 프랑스 리옹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중ㆍEU 정상회담 참석을 취소했으며, 에어버스 150대 구매를 위한 최종협상도 무기한 연기시켰다. 이에 대해 EU측은 이번에 지난해 11월에 제기돼 조사 중이었던 중국산 탄소강 잠금장치의 반덤핑 안건을 꺼내 들어 중국에 보복을 가했다. 중국에서는 프랑스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불붙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프랑스산 제품 불매운동 참가자는 "나는 내 이름을 걸고 평생동안 프랑스 제품을 구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중국인들의 프랑스산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확산될 경우 까르푸를 비롯한 프랑스 회사들의 타격이 불가피하다. 중국 정부도 사르코지의 행보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류젠차오(劉建超)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주례브리핑을 통해 "프랑스 대통령이 달라이 라마를 만나는 것은 중국 민중의 강력한 불만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