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값이 뛰면서 라면에서부터 철강재에 이르기까지 오르지 않은 게 없다. 무섭게 오르는 물가에 주부들은 장보기가 겁난다며 아우성을 치고 기업들은 기업들대로 수익성이 악화돼 울상을 짓고 있다.
농심이 오늘부터 라면과 스낵류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씩 올렸다. 비록 100원 인상이기는 하나 서민식품으로 통하는 라면 값 인상이 주는 충격과 파장은 크다. 최대 업체인 농심의 가격 인상은 다른 업체들과 다른 제품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 앞으로 가 더 큰 걱정이다.
고유가에 따른 바이오에너지 개발과 기상이변에 따른 작황 부진, 인도ㆍ중국 등 신흥시장의 수요 급증으로 수급상황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다. 곡물 가격이 급등하자 미국 제과업체 등은 정부에 밀 수출을 줄이라고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한다. 자원과 식량의 무기화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뿐만이 아니다. 물가상승 압력도 전방위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철광석 도입가격이 65%나 오르고 철강 생산의 주원료인 유연탄 가격도 큰 폭으로 뛰어 철강제품 가격 인상도 불가피하다. ‘산업의 쌀’인 철강제품의 가격 인상은 곧바로 자동차ㆍ가전ㆍ조선ㆍ건설ㆍ기계 등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원자재 가격 상승은 국내물가의 고공행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5.9%나 뛰었다. 소비자물가도 3.9% 올라 한국은행의 관리목표를 벗어났다. 수입물가는 무려 21.2%나 치솟았다.
고물가는 경제안정의 최대 걸림돌이다. 고물가는 고금리ㆍ고임금을 자극해 기업수익 둔화와 투자위축, 고용감축은 물론 산업평화도 해치게 된다. 물가상승의 원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해외변수 때문이기는 하지만 손을 놓을 수는 없다. 장기적으로 자원외교를 강화해 공급량을 확보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상황이 급박한 만큼 정부는 할당관세 인하와 비축물량 공급 확대로 수급불안을 해소해야 한다. 공기업들도 원가절감에 박차를 가해 서민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 국회도 예외일 수 없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을 서둘러 관세ㆍ비관세 장벽 제거에 적극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