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산신항이냐 진해신항이냐

부산시·경남도, 신항만 명칭 둘러싸고 첨예대립<br>양측 “절충안 수용 못해”…정부 금주내 발표 주목

내년 1월 부분 개장을 앞두고 있는 부산·경남 지역의 신항만 명칭을 둘러싸고 지역간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부산시 강서구 가덕도와 경남도 진해시 용원동 일대에 건설되고 있는 신항만 북컨테이너부두 전경.

부산시 강서구 가덕도와 경남 진해시 용원동 일대에 건설되는 신항 명칭의 결정이 임박하면서 부산시와 경남도 간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 발표를 1~3일 앞둔 13일 양 시ㆍ도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대정부 투쟁에 나섰다. 양 시ㆍ도 국회의원들도 가세했다. 정부는 신항 명칭을 이번 주 안에 발표할 예정이다. 경쟁 항만인 상하이 신항이 지난 10일 개장한데다 부산 신항도 오는 16일 임시 개장, 내년 1월19일 정식 개정한다는 일정을 감안할 때 더 이상 늦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명칭이 되든 양 시ㆍ도 중 한쪽이 불만을 나타내거나 양 시ㆍ도가 한꺼번에 불만을 표출할 개연성이 남아 있다. 현재 부산시는 신항 명칭으로 ‘부산신항’을 사수하고 있으며 경남도는 ‘진해신항’에서 한 발짝도 물러나지 않고 있다. 정부가 대외적으로는 부산 신항 또는 부산항으로 하되 ‘용원ㆍ가덕항’ ‘부산진해신항’ 등 역내항 명칭을 별도로 두는 2원적 형태나 ‘부산진해신항’ ‘부산신항’ 등 하나로 하는 방안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부산진해신항과 용원ㆍ가덕항의 경우 절충안이지만 양 시ㆍ도에서 받아들이지 않을 태세다. 부산시는 전세계에 알려져 있는 부산항의 브랜드를 포기할 경우 신항의 의미가 퇴색된다며 반대하고 있으며 경남도는 ‘진해신항’이 아니면 절대 수용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이다. ‘부산신항’으로 결정되면 경남도와 진해시에서 극한 투쟁이 예상된다. 부산시는 13일 허남식 시장이 ‘부산신항’ 존치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갖고 사수 결의를 밝혔다.허 시장은 “국내외 해운선사들이 대부분 부산신항 명칭을 선호하고 있으며 부산신항 명칭 변경은 130여년간 쌓아온 부산항의 브랜드 가치를 무시하는 것으로 국익에도 엄청난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부산시당은 이날 ‘부산신항’ 고수 건의문을 국회와 청와대,국무총리실,해양수산부에 전달하고 한나라당 부산시당은 성명서를 발표,“세계가 인정하는 부산신항의 명칭에 대해 유독 정부만이 귀를 막고 정치논리에 얽매여 올바른 결정을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앞서 12일 부산신항명칭사수범시민추진위원회와 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등 시민단체들은 ‘부산신항’ 이외의 어떠한 명칭 변경도 절대 수용할 수 없으며 만약 변경될 경우 대정부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경남도 진해신항쟁취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도 이날 “건설되고 있는 신항은 경남땅이 80%가 넘게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명칭을 진해신항으로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지난 8ㆍ9일 양일간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진해신항쟁취를 위한 촛불시위를 벌인데 이어 12ㆍ13일에는 서울 광화문 4거리에서 호소문 낭독과 결의대회에 이은 촛불 시위를 벌였다. 경남도 관계자는 “명칭 발표는 비대위가 국무조정실을 방문한 결과 14일 이후로 미루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건설중인 항만 명칭이 진해 신항으로 되지않을 경우 대정부 투쟁 등 심각한 문제들이 돌출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서는 ‘부산신항’으로 명칭이 결정될 경우 신항만의 세수를 경남도에 대폭 양보하거나 신항만 완공 후 경남도 항만위원 수를 늘려 신항만 운영 참여 폭을 확대해야 한다는 절충안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